김정은을 통한 3대 세습을 밀어붙이고 있는 북한이 현대그룹의 금강산 관광사업 독점권 효력 취소를 통보한 이유는 뭘까?
결론은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보충한 수단이 필요해서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8일 담화문 발표에서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대변인은 "이제 더는 금강산 관광이 재개될 가망도 없다"며 현대 아산의 금강산 관광 독점권 취소를 일방 발표했다.
"현대 측과 맺은 금강산 관광에 관한 합의서에서 현대 측에 준 독점권에 관한 조항의 효력을 취소한다"고 밝힌 북한 아태평화위의 이번 조치는 대남 압박을 가하는 수순으로 분석되고 있다.
북한은 이미 지난해 금강산 관광시설의 동결 및 몰수 조치를 취한 바 있고, 이어서 지난 8일에는 극단적인 조치인 현대그룹의 금강산 관광 독점권 취소를 취해버렸다.
금강산 관광과 관련, 현대그룹은 수천억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이번 북한 아태평화위의 현대 그룹 금강산 관광 독점권 최소는 현대그룹의 목을 졸라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압박을 가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
하지만 북한의 이번 조치 속내는 돈이 필요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금강산의 외국인 관광을 통해 외화벌이를 하겠다는 의도이다.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것은 2008년 8월. 현대그룹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가던 관광대가가 차단된 지 벌써 2년 8개월째 접어들었다. 이를 벌충하기 위해서라도 외국인 관광객을 받아들이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미 북한은 이런 행태를 보여왔다. 지난해 중국 여행사를 통한 외금강 관광객들이 드나들었다.
이번 조치에서 북한 아태평화위가 남한을 통한 금강산 관광은 현대그룹에 그대로 남겨둔 것은, 북한을 통한 관광은 해외사업자에게 위임하겠다는 것은 결국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적을 보여준다.
작년 5월 중국 여행사는 북한 단체관광을 시작하면서 외금강 관광을 포함한 상품을 팔았다.
뉴미디어국장 최미화 기자 magohalm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