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생 학생들의 잇단 자살과 최우수 카이스트 교수로 선정됐던 박 모 교수의 자살 등으로 개교 이래 최대 위기에 처한 카이스트의 비상 국면이 계속 되고 있다.
카이스트측은 올들어 학부생 4명이 목숨을 끊으면서 학교 운영과 학사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 들이 잇따라 거론되자 영어강의 부담 완화, 징벌적 수업료 전면 보류 등을 골자로 한 제도개선안을 발표했으나 5시간여 만에 백지화했다.
교과부 관계자가 서남표 총장이 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는 가운데, 서남표 카이스트 총장은 12일 오후 7시에 발표한 카이스트 학사운영 개선안에 대해서 자신은 몰랐던 것이라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실제 카이스트는 12일 오후 7시 조금 넘어 학내 포털 사이트에 애초 발표됐던 징벌적 수업료 제도의 대폭 조정을 포함해 학부과정 모든 전공과목과 일부 교양과목에 대해 시행해온 영어강의를 앞으로 전공과목에 대해서만 실시하려 한다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학사운영 및 교육개선안을 게재했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하고 있다.
개선안은 애초 발표됐던 징벌적 수업료 제도의 대폭 조정과 영어강의 완화를 포함하고 있다. 징벌적 수업료 대상 학부생은 최대 650만원에 이르는 등록금을 내도록 되어 있고, 성적 부진자라는 낙인까지 얻게 되면서 강한 심리적 압박감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애초 발표됐던 카이스트 개선안은 학부과정 학업부담을 20%가량 낮추고 평점 2.0 미만의 학생들에 대한 학사경고도 입학 후 2학기 동안은 면제하는 한편 학생 관련 위원회에만 국한됐던 학생참여 폭도 확대하고 재수강이나 계절학기 등과 관련해서는 관련 위원회에 학생이 참여해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는 등 내용이 담겼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서남표 총장은 모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학교에서 발표한 개선안에 대해) 나는 몰랐다. 학사경고 면제는 내부적으로 논의중인 내용이 잘못 발표된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연유에서인지 , 자정을 넘겨 KAIST는 이 같은 개선안이 학생들과의 논의를 위해 임의로 작성한 자료일 뿐 공식입장이 아니라며 백지화했다. 개선안이 공지된 지 불과 5시간여만이다.
그런데 이 개선안 가운데 상당 부분은 서 총장이 출석했던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까지 11일 제출됐던 내용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런 카이스트의 갈지자 행보에 대해 일각에서는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 제출했던 개선안이 위기 무마용 내지는 국회 질타를 벗어나기 위한 전시용이 아니었느냐는 시각도 보이고 있다.
"서남표 총장이 국회 출석만 대충 넘기고 학생들을 무마시키자는 의도 아래 잇단 학생 자살사태에 대한 개선대책을 국회에 제출하고 학내 포털 사이트를 통해 공지했다가 은근슬쩍 취소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연합뉴스는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한 교과위원측 보좌관은 개선안 백지화 소식에 "국민과 학생을 기만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며 "사정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KAIST의 사태수습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KAIST 측은 "총장에게 보고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작성된 자료가 외부로 공표됐다"며 "국민 여러분께 혼동을 드려 대단히 죄송하지만 교과위에 제출된 개선대책 외에 추가된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어 명확하게 하고자 하는 것일 뿐 기만 등 의도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뉴미디어국장 최미화 기자 magohalmi@msnet.co.kr,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