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KBS 수신료를 월 3천500원으로 1천 원 올리는 방안을 4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방침이다. 이럴 경우 KBS는 연간 2천200억 원가량의 수신료 수입이 더 늘어나게 된다. 가뜩이나 물가고에 시달리는 서민들을 외면하고 가구당 연간 1만 2천 원씩 부담을 더 지우는 것은 온당치 못한 일이다.
KBS가 수신료 인상에 목을 매는 이유는 '공영방송'이라는 이유 딱 한 가지다. 디지털방송 전환과 난시청 해소, 공영성 확립을 명분으로 재정 능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수신료를 무리하게 인상해 억지로 만드는 것이 공영방송인가. 경영 합리화 등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통해 KBS 스스로 자격을 갖출 때 가능한 일이다. 당장 손쉽게 국민 호주머니를 털어 자기 배를 불리는 것은 공영방송으로서 할 일이 아니라 스스로를 망치는 것이다.
국회의 수신료 인상 움직임은 최근 국회 문방위 보고서와도 정면으로 배치된다. 문방위는 "KBS가 충분한 자구 노력을 않고 있으며, 디지털방송 전환 등이 수신료 인상의 주요 이유가 될 수 없다"는 검토 의견을 냈다. 이 검토 보고서는 "KBS가 공영방송 정체성 확립을 주장하면서 상업 광고 비중을 줄일 계획은 전혀 하지 않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KBS의 상업 광고 수입 비중은 43.9%로 외국 공영방송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게다가 인건비 비중도 BBC나 NHK에 비해 10% 이상 높다.
국민이 KBS 적자를 메워주어야 하는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다면 수신료 인상은 그 어떤 명분도 없다. 정치권도 KBS의 강한 로비와 압박에 굴복해 수신료를 인상하려 든다면 국민의 반발을 사게 됨을 알아야 한다. 무엇보다 KBS는 공영방송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들이 무엇인지 스스로를 엄격히 돌아봐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