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사회복지단체 관리 강화로 성금 비리 막아야

전국소년소녀가장돕기 시민연합중앙회의 이 모 사무총장 등 관계자 3명이 성금을 착복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소년소녀가장의 장학금으로 기부받은 돈 중 7천700여만 원을 자녀 결혼 비용이나 경조사비 등으로 사용했다. 이들은 또 방송사 오락 프로그램에서 기부한 성금을 학생들에게 지급한 뒤 일부를 되돌려받아 모은 돈 7천600여만 원을 주식 투자에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어려운 이웃을 돕겠다는 사람들의 선의를 이용, 자신들의 잇속을 챙긴 파렴치한 행위다. 지난해 10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일부 간부가 성금을 유흥비 등으로 유용한 비리가 발생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또다시 이 같은 뉴스를 접하게 되니 허탈할 뿐이다. 사회복지단체들의 끊이지 않는 비리를 막기 위해 투명성을 높이고 감시망도 더 촘촘히 해야 할 상황이다.

우리 사회에는 좋은 일을 하는 사회복지단체가 많으나 의구심을 일으키는 사회복지단체들도 적지 않다. 그래서 성금을 내려다가도 단체가 미심쩍어 주저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외부 성금에 의존하는 사회복지단체들의 경우 회계 시스템을 투명하게 하고 외부 감시위원 등을 두도록 허가 요건을 강화, 공신력을 높여야 이 같은 폐단을 줄일 수 있다.

사회복지단체의 성금 비리는 기부 문화 확산에도 찬물을 끼얹는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성금 유용 사건이 터진 이후 지난해 연말 성금이 대폭 줄어든 사례가 그러했다. 좋은 일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던 사람들이 불법을 저지르면 실망감이 커 지갑을 닫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당국은 사회복지단체들의 실태를 철저히 파악하고 관리 기준을 강화, 비리를 차단하고 기부 문화가 위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