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 미분양 아파트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4월말 현재 대구시 미분양 아파트는 10,561호이다. 이는 2010년 10월의 미분양 아파트가 총 1만5304호였던 데에 비하면 5천여호 이상 줄어든 것으로 매월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월 대비 6.8%(764호), 전년 동월 대비 35.9%(5,906호)가 감소한 것이다.
◇ 월별 미분양 주택 변동 추이
대구의 월별 미분양주택 변동추이를 보면 ▲2010. 10월 15,304호 ▲2010. 11월 14,505호 ▲2010. 12월 13,163호 ▲1월 12,380호 ▲2월 11,929호 ▲3월 11,325호 ▲4월 10,561호로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미분양 주택이 정점을 달했던 지난 2009년 1월 21,560호에 비하면 무려 51%가 줄어 든 셈이다. 수치상으로는 약 4년 전인 2007년 5월말 기준 10,888호와 비슷한 수준이다.
◇ 중소형 미분양 물량 빠르게 소진 추세
전용면적별로 살펴보면 미분양 세대수는 85㎡ 이하 중소형 평형의 전월 대비 감소량이 469호(3월말, 각 71호, 2,755호, 8,499호)로 총 감소량의 61%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실수요자 중심의 중소형 평형 위주로 미분양 물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분양 세대수는 60㎡ 이하 27호(전체0.3%), 60~85㎡ 이하 2,330호(22.1%), 85㎡ 초과 8,204호(77.7%)이다.
◇ 준공 후 미분양은 8천48호
또 준공 후 미분양은 총 8,048호로 전월대비 400호가 감소하였다. 이는 2010년 8월 최고치인 12,782호를 기록한 이후 매월 꾸준히 감소하여 8개월 만에 정점 대비 37%나 감소한 수치이다.
지역별로는 미분양 세대수 기준 중구 314호, 동구 933호, 서구 761호, 남구 507호, 북구 603호, 수성구 2,825호, 달서구 4,245호, 달성군 373호이다.
◇ 달서구 수성구 미분양 감소량 전체의 70% 차지
준공후 미분양 감소세는 수성구와 달서구가 각각 155호 및 409호씩 감소하여 전체 감소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대구시는 봄 이사시즌의 영향을 많이 받는 1~3월에 이어 4월까지 이 같은 감소세가 두드러진 것에 대해 4월말까지 미분양 주택에 대해 한시적으로 적용되던 취득세 및 양도세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한 주택 구입자들이 4월말까지 계약을 서둘러 마쳤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연초 2차례에 걸쳐 발표된 주택거래 활성화 대책의 주택 구입시 취득세 인하 영향 및 전세가 상승으로 인한 전세수요의 매매전환, 업체의 분양가 인하 등 자구 노력 등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뉴미디어국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