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親李 "당권·대권 분리 親朴 의도대로 불가"

한나라당 내 각 계파가 7'4 전당대회의 룰을 둘러싸고 치열한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의화)는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완화 등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합의는 쉽지 않아 보인다.

비대위는 전날에도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가 넘게 마라톤회의를 이어갔지만 주요 쟁점사항에 대해 의견 일치를 보는데 실패했다. 친이계는 대선 주자의 선출직 당직 사퇴 시기를 현행 1년6개월 전에서 1년 전으로 완화하고, 당권'대권의 통합을 통해 당 대표의 리더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퇴 시한을 조정하면 이번 전당대회에 출마하는 이들이 12월까지 5개월 간 대표를 맡아 대권후보로 성장할 수 있다는 취지다. 반면 친박계는 당권'대권의 분리와 대표최고위원'최고위원의 분리 선출에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배은희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당권'대권 분리의 현 규정을 유지하자는 의견이 많았지만 대선 주자의 당직 사퇴 시기를 완화해야 된다는 주장도 적지 않았다"며 "양측 간 차이는 결국 이번 전당대회의 흥행 문제로 귀결된다"고 말했다.

대표최고위원과 최고위원 분리 선출 여부도 조율이 어려워 보인다. 배 대변인은 "일부 비대위원들이 현행 제도대로 선출하되 지명직 최고위원 지명권은 대표에게 단독으로 맡기는 등 힘 있는 대표가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견을 개진했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비대위는 전당대회 선거인단 규모를 21만 명으로 늘리고 이 가운데 20~30대 청년 선거인단 1만 명을 포함시키기로 했다. 또 첫 전당대회 순회대회를 24일 대구'경북, 25일 부산'울산'경남에서 열기로 일정을 변경했다. 책임당원 2만여 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도 공개돼 당권'대권 분리에 대해선 '현행 유지'가 58%, 대표 최고위원과 최고위원 분리 선출에 대해선 '현행 유지'가 60%로 높게 나왔다.

비대위는 30일 오후 9시까지 룰 개정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 표결로 확정할 예정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