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천200여년 전 통일신라에는 어떤 동물 살았을까

국립경주박물관은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 특별전을 오는 8월 21일까지 연다.

1998년과 2000년 국립경주박물관 내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우물 2기가 발굴됐는데 우물 속에서 토기, 목기, 금속기 등의 생활유물과 함께 동물뼈가 발견됐으며, 10살쯤 된 어린아이의 유골도 함께 나왔다. 이번 특별전은 당시의 조사 내용을 처음으로 공개하는 전시회이다.

이달 8일부터 시작된 특별전은 동물고고학적 시각에서 1천200여 년 전 이 땅에 살았던 9세기대 통일신라의 여러 동물들을 살펴볼 수 있는 최초의 전시이며 나아가 신라의 수도 서라벌에 살았던 신라 정신세계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경주 월성의 동남쪽에 자리한 이 2기의 우물 주위에서는 건물지, 도로, 담장 시설 등도 함께 조사됐다. 특히 우물1에서는 '南宮之印'(남궁지인)명 기와편이 출토돼 월성 동남쪽에 있었던 신라 왕경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다.

전시 구성은 우물1과 우물2에서 출토된 동물뼈를 비롯해 토기 기와 목제품 금속품 등을 구분해서 비교 전시하되 관람 시 이해하기 쉽도록 우물 속 출토 상태를 그대로 재현했다. 이러한 동물뼈들과 함께 성별을 알 수 없는 10살쯤 된 어린아이의 뼈도 공개된다.

국립경주박물관 이영훈 관장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통일신라인들의 삶과 정신세계에 다가가고 아울러 동물고고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