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G 통신기술을 전국적으로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 포스텍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주관한 경진대회에서 1, 2위를 차지하며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 문정환(27·사진 오른쪽), 석사과정 이주연(25) 씨 팀은 최근 미국 볼티모어에서 열린 2011 IEEE 국제 초고주파 심포지엄의 '국제 학생 고효율 전력 증폭기 설계 경진대회'에 2개의 증폭기를 출품,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이 설계대회는 전력증폭기의 입력 전력 대비 효율과 동작주파수를 평가하며 문 씨 팀이 출품한 전력증폭기는 3.475GHz의 주파수에서 80%의 효율을 나타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연구팀이 함께 출품한 다른 전력증폭기는 79.3%의 효율로 근소한 점수차로 2위를 차지했다.
기지국 내부에서 무선이동통신 송신시스템의 소모전력을 좌우하는 핵심부품인 전력증폭기는 그 효율에 따라 기지국의 운영단가를 크게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열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계속돼 왔다.
효율이 좋은 전력증폭기를 사용하면 기계의 발생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기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기지국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생산원가와 운영단가를 낮춰 기지국 설치와 운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도교수인 김범만 교수는 "이 전력증폭기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이른바 4G에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현재 사용 중인 WiBro와 WCDMA, LTE 등 무선이동통신에도 바로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라고 말했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