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 협상 지연 속 현대·기아 월 수천억 부담…대구경북 산업계 '먹구름'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미국, 일본산 자동차 관세 15% 적용…한국산은 여전히 25%
대구경북 부품산업도 연쇄 피해 우려, 조속한 협상 타결 시급

산업통상자원부가 16일 발표한
산업통상자원부가 16일 발표한 '2025년 8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작년 8월보다 8.6% 증가한 55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8월 최대 실적이다. 다만 한국의 최대 자동차 수출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이 작년 8월보다 15.2% 감소한 20억9천700만달러로 나타났다. 대미 자동차 수출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부터 모든 수입차에 25% 품목관세를 부과한 영향 등으로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16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미국으로 수출하는 일본산 자동차에 부과되는 관세가 15%로 하향 조정되면서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게 된 한국 자동차 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차부품 비중이 높은 대구경북 산업계의 근심도 깊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일본과의 무역협정에 따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16일(현지시간)부터 15%로 적용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부터 외국산 수입 제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경우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25%로 인상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대(對)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에 관세 25% 적용을 받고 있다. 한국의 경우 미국과 아직 큰 틀에서 무역협정 합의를 했을 뿐 세부 사항에 대한 이견으로 최종 타결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본과 미국 시장에서 경쟁 중인 현대차그룹 등 우리 자동차 기업에는 타격이 예상된다.

문제는 이 같은 교착상태가 조기에 해결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앞서 지난 7월 무역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 등을 낮추는 대신 한국은 3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등을 시행하기로 합의했으나, 구체적인 내용을 확정하는 데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25%의 관세가 적용되는 현 상황이 연내에는 해소되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이날부터 미국향 일본산 자동차의 관세가 27.5%에서 15%로 하향되는 것과 관련해 "7월 22일 합의로부터 발효까지 56일이 소요됐다"며 "당장 9월말에 (한미간) 협정이 원만히 체결돼도 연내 자동차 및 부품 관세 인하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 "현대차와 기아는 현 수준 관세가 지속될 경우 각각 월 4천억원과 3천억원대의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자동차 및 부품 관세 인하 시점이 미뤄질수록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한미 관세 서명 지연으로 25% 관세율에 따른 충격이 3분기부터 실적에 반영되고 미국 자동차 산업 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한국 자동차 업체들의 올해 하반기 수익성이 예상보다 약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미 관세 여파는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미국 정부가 모든 수입차에 25% 품목관세를 부과한 지난 4월 이후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대구경북 산업계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완성차 업계 실적이 악화될 경우 직간접적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대구지역 수출은 전년 대비 5.5% 늘어난 7억3천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대미 수출은 20.3% 급감했다.

대구의 한 부품사 관계자는 "미국에 부품을 직접 수출하는 기업이 아니더라도 완성차 기업이 타격을 입으면 연쇄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관세율을 하루라도 빨리 낮춰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