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전당대회 준비상황이 법원의 당헌개정안 효력 정지 처분으로 일시 '스톱'되면서 한나라당의 느슨함과 안이함이 도마 위에 올랐다. 웰빙 정당, 초식 공룡이라는 별명이 딱 들어맞다는 비판에도 제대로 대응할 능력조차 갖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랴부랴 대책을 찾고 있지만 그 또한 많은 문제를 품고 있어 그야말로 우왕좌왕이다.
일단 전당대회 연기론이 제기되는 상황은 마무리함으로써 급한 불은 껐다. 한나라당은 예정대로 전대를 치르기 위해 '투 트랙' 전략을 마련했다. 하나는 7월 2일 전국위원회를 열고 경선 룰과 관련한 재의결 절차를 밟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국위 처리가 실패할 경우 7월 4일 전당대회에서 처리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그간의 전국위 회의를 바탕으로 예견한 '7'2 전국위'는 재의결을 위한 전국위원 과반수 출석에 재적위원 과반수 찬성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토요일인데다 공지 기간이 짧았고 혹 과반수가 출석해도 모두 현 경선 룰에 찬성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달 7일 전국위도 당 대표 경선 여론조사 반영 여부를 놓고 맞서다 이해봉 전국위 의장이 '위임장 의결'을 감행한 터다. 당내 일부에서 선거인단 21만 명 확대에 여론조사 30% 반영은 불필요하다는 여론조사 반영 삭제 주장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안인 '전당대회 현장 재의결'에서는 대의원 8천881명의 과반수 출석에 과반수 찬성이 필요한데 여기서도 찬성표가 절반을 웃돌지는 미지수다. 일부 대의원이 표결을 원하면 당헌 개정 투표를 실시해야 하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는데다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 당 대표 경선은 물 건너가게 된다. 또 전대에서 당헌이 개정되어도 7월 3일 이미 투표를 마친 일반 선거인단 19만여 명의 표가 유효한지 여부도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전대 연기론'이 여전히 숙지지 않고 있다. 당 지도부는 7'4전대의 강행을 고집하고 있지만 현행 경선 룰에 불만을 품은 친이계 일각에서 재합의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합의하는 데 시간이 모자라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장제원 의원은 "비대위에서 새로 (경선) 안을 만들든지 아니면 후보들끼리 합의를 다시 해 합의된 안이 전국위에 통과되어서 그 이후에 전당대회를 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친이계 일부는 선거인단을 21만 명으로 하되 1인 1표제 시행과 여론조사 폐지를 담았던 당 비상대책위원회 방안을 갖고 재논의할 것을 원하고 있다. 친박계와 소장'쇄신파는 이들 친이계의 주장이 원희룡 후보를 유리하게 만들어주려는 의도가 있다고 반기를 들고 있다.
이런 논란에도 당권경쟁에 나선 7명의 후보들은 전대를 예정대로 성공적으로 치러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 그래서 전대 불발론이 일단 잠잠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당 지도부와 긴급회동을 가진 이들은 또한 전국위 소집과 당헌'당규 개정안 문제는 후보로 나선 만큼 지도부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이번 경선 룰에 대한 가처분신청을 낸 김혜진 전국위원은 혼란을 초래한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해봉 전국위 의장의 사퇴를 주장하고 나섰다. 김 위원은 "그날 (전국위가 당헌 개정안을 의결한 이달 7일) 친이, 친박, 소장파는 전부 비겁했다"며 "동네 계모임도 그렇게 하지는 않는다. 표결이나 거수도 없고, 반대 의견이 있는지 묻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