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이 발표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총 주택대출 중 '고정금리 대출' 비율을 30%까지 늘리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부는 왜 이런 대책을 내놓으며 '고정금리 대출' 비율을 늘리려는 것일까. 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최근의 시중 금리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시중금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2009년 2월 2.00%로 최저를 기록한 후 5차례 인상을 통해 현재 3.25%로 상승했다. 물가 안정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된다.
시중금리 상승은 가계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올 3월 말 현재 가계부채는 801조4천억원으로 외환위기 이후 1999~2010년까지 연평균 13%씩 증가했다. 이는 경상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7.3%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금리상승 기조가 지속될 경우 가계의 이자부담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고정금리에 대별되는 변동금리는 금리가 안정되어 있을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지금과 같은 금리 상승기에는 대출금리가 높아져 가계뿐 아니라 국가경제 전체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도 예방적인 차원에서 '고정금리 대출' 비율을 늘리려고 하는 것이다.
재테크 관점에서 본다면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대출받을 일이 있다면 고정금리로 가급적 만기를 길게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변동금리 대출이 있다면 고정금리로의 전환도 고려해볼 만하다. 이때 유의해야 할 점은 통상 고정금리가 변동금리에 비해 1% 포인트 정도 높고 금리 전환에 따른 수수료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유불리를 검토해서 결정해야 한다.
한편 예금 가입자는 대출과는 역방향의 관점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금리 상승기에는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가 유리하며 예금을 맡길 때도 장기보다 단기로 예치해 만기 때마다 높은 금리 쪽으로 옮기는 것이 좋다. 예금상품을 가입할 때는 상품에 적용되는 금리의 종류를 잘 살펴 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은행에서 고시하는 명목이율(고시이율)보다는 실효이율을 따져보는 것이 필요하다. 명목이율이 동일한 예금일자라도 단리(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인지, 복리(원금과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인지 혹은 같은 복리라도 월복리인지 연복리인지에 따라 실효이율은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월 100만원씩 3년(36개월)간 적금을 넣는다고 할 때 은행 명목이율이 4.0%라고 하더라도 단리, 월복리, 연복리에 따라 만기 시점의 이자금액이 달라진다. 만기시점 세전 이자금액을 계산해 보면 각각 222만원, 227만원, 231만원이 된다. 같은 명목이율 아래에서도 월복리로 운용되는 상품의 수익률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일반인들이 쉽게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시중은행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불입 금액과 기간에 따라 조건별로 금액을 계산할 수 있도록 금융계산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금리 조건에 따른 이자금액을 계산해 볼 수 있다.
또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맡기는 데 있어서 주어진 금리뿐 아니라 금융기관의 신용도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최근 부산저축은행 사태에서 보듯이 높은 금리를 준다고 해서 신용위험이 높은 금융기관에 예치하다 보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정리·이경달기자
도움말·조영철 농협 대구PB센터 팀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