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상당수 지역이 산사태 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관리는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중호우가 내렸던 지난달 대구 210곳, 경북 375곳에 대해 산림청이 위험경고(경보'주의보) 발령을 권고했는데도 대구시와 경북도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산림청은 지난 2004년부터 지역별로 산사태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을 1등급부터 4등급까지 분류해놓고 해당 지자체가 직접 조사를 통해 위험지역으로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대구시의 경우 전체 산림면적 중 상당 부분이 산사태 위험지 1등급에 지정돼 있지만 정작 시가 지정'관리하는 산사태 위험지는 한곳도 없다.
산림청에 따르면 대구 수성구 범물동, 대흥동, 삼덕동 일대와 달성군 화원읍, 현풍면 등 대부분 지역, 달서구 도원동 일대 등이 산사태 위험지 1등급으로 분류돼 있다. 수성구 범물동은 1등급 분류지와 대규모 주거 밀집지역이 맞닿아 있을 정도로 가깝다. 달성군 옥포면 달성산업단지 뒤편도 산사태 위험 1등급에 해당되고, 달서구 도원동 지역도 500m 거리에 산사태 위험지 1등급에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달 9, 10일 대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등 1등급 위험지 210곳에 산사태 위험 경고 발령(경보 88곳 포함)을 권고했으나, 대구시는 문자만 전송받았을 뿐 실제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산사태 경고 발령은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
시 관계자는 "대구시내는 강수량이 많지 않고 산지의 경사가 완만한 편이어서 굳이 산사태 위험지역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었다"며 "사유지를 위험지역으로 지정할 경우 재산권 침해와 민원 등도 우려했던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경북도 내 산사태 위험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6개 시군 10군데(5.85㏊)인데, 울진군 3곳, 영덕군과 문경시가 각각 2곳, 청송'예천'봉화군이 각각 1곳이다. 위험 등급별로는 1등급이 2곳(1.2㏊), 2등급이 1곳(1㏊), 3등급이 7곳(3.65㏊)이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