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주∼서울 버스요금 기습인상…시민들 반발

국토부 "고속전환 탓 요금체계 달라져"

"영주 시민은 봉입니까. 어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습니까?"

영주에서 서울을 오가는 버스요금이 기습적으로 인상돼 이용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영주시외버스터미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영주∼동서울 구간은 1만4천300원에서 1만8천700원으로, 영주∼강남 구간은 1만4천300원에서 1만8천400원으로 요금이 각각 4천400원, 4천100원이 인상됐다는 것.

이 같은 이유는 국토해양부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국토해양부령 310호에 시외버스 직행형(운행거리 100㎞ 이하, 운행구간 60% 이하 고속국도 이용)과 고속형(운행거리 100㎞ 이상, 운행구간의 60%이상 고속국도 이용)으로 구분했기 때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버스 요금이 인상된 것이 아니라 운행체계가 변경돼 요금이 오른 것"이라며 "그동안 시외 직행형으로 운행돼 오던 것을 버스 사업자가 고속형으로 변경 신청, 사업계획변경 인가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강남터미널에서 요금을 올린 구간은 강남∼영주 구간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인근 안동의 경우 안동∼동서울 구간 버스 운행체계가 시외 직행형을 그대로 고수, 1만5천700원에 다니고 있지만 서울과 거리가 더 가까운 영주 시민들은 3천원이나 비싼 요금(1만8천700원)을 부담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외버스터미널과 버스회사 측은 "차량 운행 체계가 바뀐 것이지 요금을 올린 것은 아니다"며 "실제로 회사 측도 불만이다. 부가가치세도 물어야 하고 고속버스로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있지만 오는 11월까지는 해당되는 모든 노선을 고속형으로 바꿔야 된다"고 말했다.

영주~서울 구간 버스요금 기습인상을 두고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시의회가 경북도와 머리를 맞대고 앉았다.(사진)

경상북도 관계자는 10일 영주시를 방문, 시의원과 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버스요금 인상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다.

도 관계자는 "요금 인상은 당초 40인승의 일반 직행형을 27인승 우등버스로 전환함에 따라 여객자동차사업법 제3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8조에 따라 시외버스 직행형을 고속형(일반, 우등 구분)으로 국토해양부가 인가를 해줘 차종별 요금을 인상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영주시의회는 "서민 경제가 어려운 시점에 공공요금을 인상하는 것은 물가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다"며 "요금인상안을 당장 철회하지 않을 경우 강력 대응할 방침"이라고 주장했다.

시민들은 "영주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조속한 시일 내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도지사 사퇴운동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