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의 국가부채 문제와 남유럽 재정위기가 부각으로 국제 금융시장에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두드지고 있다. 최대 수혜는 금이 받고 있다. 금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는 사이 금값은 거침없이 올랐다. 국제 금 가격은 지난달 19일 온스당 1천600달러를 넘어섰고 10일에는 장중 1천800달러마저 뚫었다. 오를 만큼 올라 지금 투자하기엔 늦은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 금의 기세는 꺾일 줄 모르고 있다.
금값 급등세는 세계 경기침체 우려 확산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탓. 안전자산 선호 분위기는 곧바로 금 관련 금융상품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객이 원화를 입금하면 은행이 국제 금 시세와 원/달러 환율을 적용해 금으로 적립해주는 골드뱅킹의 신장세는 두드러진다.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일하게 신규고객을 받고 있는 신한은행의 골드뱅킹인 골드리슈 잔액은 올 1월 말 4천512㎏(원화 환산 잔액 2천170억원)에서 이달 9일 기준 5천945㎏(3천664억원)으로 늘었다. 계좌수도 같은 기간 8만6천573개에서 9만8천132개로 증가했다. 수익률도 두드러진다. 10일 기준 골드리슈의 최근 1개월간 세전 수익률은 17.4%에 달한다. 연 환산 수익률은 무려 208.8%다. 최근 6개월간 수익률도 27.2%로 연 환산시에는 54.4%에 이른다.
원래 비과세 상품으로 골드뱅킹을 판매하는 은행은 신한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등 3곳이었다. 그러나 작년 말 기획재정부가 골드뱅킹 계좌거래에서 발생한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를 과세해야 한다는 유권해석을 내리자 이들 은행은 신규 취급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이 가운데 신한은행은 곧바로 배당소득세를 원천 징수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해 판매를 재개했다. 골드뱅킹이 인기를 끌자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등은 최근 금융당국에 골드뱅킹 취급 인가 신청을 냈다.
금에 투자하는 펀드들도 고수익을 올리고 있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HIT골드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금-재간접형) 등을 포함해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금 펀드 8개의 수익률은 올 들어 평균 7.7%에 달한다. 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가파르게 올랐다. HIT 골드는 지난 2일부터 11.40% 급등했다. KODEX 골드선물(H)도 8.56% 올랐다. TIGER 금은선물(H)도 6.5% 상승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