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이 음력으로 7월 7일, 전설 속의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칠월 칠석'이었다. 설화 속의 견우(牽牛)는 이름 그대로 소를 모는 청년이고, 직녀(織女)는 베를 짜는 처녀다. 사랑에 빠진 견우와 직녀는 온종일 함께 있으며 일을 내팽개치다시피 했고 급기야 신의 노여움을 사게 돼 영영 서로 떨어져 살 수밖에 없는 운명이 된다. 1년에 단 하루, 까막까치들이 다리를 놓아 줘 둘은 은하수를 건너 비로소 만나게 된다. 참 드라마틱하면서도 절절한 사랑이야기다. 대개 이 이야기는 별자리와 관련된 천문학 설화에서 발전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은하수의 양쪽에 견우성과 직녀성이 있는데, 천문학상 명칭으로 견우성은 독수리별자리의 알타이어(Altair), 직녀성은 거문고별자리의 베가(Wega)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두 별이 가을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가 봄에는 동쪽 하늘로 옮겨가고, 칠석 무렵이면 천장 부근에 떠 있어서 마치 1년에 한 번씩 만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설화가 탄생했다고 추측한다. 실제로 칠월 칠석이 되면 밤하늘 머리 위로 견우성과 직녀성이 높이 떠올라 마치 두 별이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는 한'중'일 3국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일본은 양력으로 지키고, 중국과 한국은 음력으로 챙긴다. 설화의 모티브가 중국에서 유래됐다고 전하는 만큼 이날에 대한 중국인들의 애착은 유난하다. 젊은 연인들에게는 '중국의 발렌타인데이'라고 불릴 만큼 인기가 높다. 그런가 하면 중국의 도시들은 견우 직녀 설화를 놓고 원조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산시성 허순시는 견우와 직녀 기념우표를 발행하고, 산둥성 이위안 시는 견우 직녀 축제를 성대하게 여는가 하면, 설화의 발원지 타이틀을 놓고 경쟁 중인 도시들도 있다. 사실상 설화는 주로 구전되기 때문에 여러 지방에서 비슷한 특징이 있을 수 있어서 중국의 전문가들조차도 어느 지역이 근원지라고 단정 짓지 못한다고 한다.
역사 속의 설화를 놓고 도시 간에 벌어지는 정통성 싸움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서동왕자' 설화를 놓고 전북 익산시와 충남 부여군이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익산시는 서동이 익산 출신의 왕족임을 강조하고 부여군은 훗날 무왕이 지금의 부여인 사비로 수도를 옮긴 것을 강조한다. 또 왜장을 껴안고 강물에 몸을 던진 절개의 대명사, 논개 역시 경남 진주시와 전북 장수군이 원조 논쟁을 벌이고 있고, 남원시 아영면과 인월면은 '흥부전'의 무대를 두고 연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설화를 둘러싼 지자체 간 경쟁도 최근 문화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설화 속에는 인간의 삶이 깃들어 있다. 현대인들은 각자 그 속에 투영되어 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발견하고 나름의 교훈과 메시지를 읽는다. 그렇게 보면 견우와 직녀 속에 메시지는 무척이나 낭만적이다. 까막까치가 놓아주는 은하수를 건너 1년에 한 번 만나 애틋한 사랑을 한다는 설정 자체가 그렇다. '만남'을 상징하는 '오작교'의 존재도 의미심장하다. 머리가 벗겨지는 고통을 감수하고 그 멀고 먼 거리에 다리를 놓아주었던 까막까치의 정성도 눈물겹다. 돌아보면 우리 주변에는 오작교를 필요로 하는 인간관계들이 많다. 오늘밤 하루 정도는 고개를 들어 밤하늘을 수놓는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에 오롯이 파묻히는 여유를 가져보길 권한다.
(구미 탑정형외과연합의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