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백화점 편익 위해 시민 불편 외면한 교통행정

현대백화점이 정식 개장에 앞서 '프리 오픈 데이' 행사를 열었다. 예상대로 일대는 교통대란이 일어나 평소에도 복잡한 도로가 마비되다시피 했다. 백화점 앞이 밀리면서 동쪽으로는 봉산육거리, 삼덕네거리까지 차량이 거북이걸음을 했다. 또 다소 한산했던 남산동 인쇄 골목과 북성로를 잇는 계산오거리 남북 도로도 꽉 막혔다. 차도'인도 구분이 되지 않는 약전골목 일대의 뒷길은 차량과 사람이 뒤엉켜 아예 움직이지 못할 정도였다.

그나마 행사일에 맞춰 경찰과 자원봉사자, 백화점 측 차량 계도 요원 수십 명이 버스 전용차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정리에 나섰지만 밀려드는 차량에는 속수무책이었다. 백화점 쪽으로 유턴하는 차량이 계산오거리까지 밀릴 정도였다. 또 백화점에서 빠져나오는 차량과 택시가 뒤엉키면서 시민은 차량 사이를 이리저리 빠져나가 버스를 타야만 했다.

이번 사태는 충분히 예상한 것이다. 하지만 대구시는 교통 체증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몇 가지 안이 있었지만 근본 대책이 안 된다는 이유로 채택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대구시가 한 일은 반월당네거리와 계산오거리의 일부 구간에서 좌회전을 허용한 것뿐이다. 예측 행정은 고사하고 뒷북 행정조차 못 한 것이다.

일개 백화점 개점으로 대구가 교통 혼란을 겪는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특히 이달 말에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대구에서 열린다. 현대백화점 앞 도로는 달서구'서구와 육상경기장을 잇는 가장 넓고, 빠른 도로다. 이대로 내버려두면 선수단과 외국 관광객, 관람객이 몰리는 대회 기간 중 예상되는 혼란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대구시가 아직도 상황을 봐가며 대책을 만들겠다는 안일한 생각이라면 백화점의 편익을 위해 시민 불편을 무시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