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선거까지 겹쳐 덩치가 커진 10'26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여야 모두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주목하고 있다. 지원유세 여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18대 국회 들어 "선거는 당 지도부 중심으로 치러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온 박 전 대표도 이번 선거만큼은 나서야 한다는 이야기를 어느 때보다 많이 듣고 있다. 27일 청도에서 열린 '새마을운동 발상지 성역화사업' 준공식에서도 재보선 지원유세에 대해 "다음에 이야기하자"며 비켜 나갔다.
정치권은 박 전 대표의 선거지원을 '조건부'로 보고 있다. 무상급식이라는 정책투표가 정치투표로 변질됐고, 박 전 대표도 "무상급식은 각 지자체의 형편과 상황에 맞게 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만큼 오는 재'보선까지 무상급식 문제가 빅이슈가 되면 지원유세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무상급식 문제가 아닌 다른 이슈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밝힌 것도 박 전 대표의 측면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서란 지적이 나온다.
또 차기 대권에 가장 가까이 있는 박 전 대표로서는 서울시장 후보 공천이 자신에게 유리하지 않을 경우에는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 박 전 대표의 지지가 높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소통령'이라 불리는 서울시장의 지원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의 위기가 어느 때보다 큰 데다 당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데 대해 보수층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만큼 '선거의 여왕'이라는 박 전 대표의 재보선 역할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수도권의 박 전 대표 지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말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라는 복지철학을 내놓고 사회보장법 전면개정안으로 '복지 이슈'에 불을 지핀 박 전 대표가 최근 한반도 안보와 외교에 관한 글까지 해외 학술지에 기고하면서 대권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대권행보를 이어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친박계 내부와 정치권에서는 30%대의 안정적 지지율이 이번 무상급식 투표 이후 하강했다고 지적하고 야권에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새 인물이 등장하는 시점에 박 전 대표가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