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실시될 국회의원(4월 11일)'대통령(12월 19일) 선거를 앞두고 군소정당들이 몸집 불리기에 나섰다. 짝짓기의 우선대상은 이념을 같이하는 소수정당들이다. 소수정당들이 짝짓기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다가올 선거 정국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기성정당들과 제대로 경쟁하기 위해서다. 군소정당의 경우 선거 직전까지 국민들에게 이렇다 할 인상을 심어주지 못할 경우 '사표 심리'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소규모 정당들 간의 소통합 이후 '통합신당'과 기성정당 간의 대통합 여부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먼저 보수를 기치로 내걸고 있는 진영에서는 충청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자유선진당과 국민중심연합이 이달 17일 당 대 당 통합에 합의한 상태다. 여기에 미래희망연대(옛 친박연대)가 한나라당행과 통합신당행을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변웅전 자유선진당 대표와 심대평 국민중심연합 대표는 최근 노철래 미래희망연대 대표권한대행과 회동을 갖고 보수진영 대통합을 위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희망연대의 경우 현재 한나라당과 통합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보수진영 야권통합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세 정당이 통합할 경우 독자적인 원내활동이 가능한 25석(원내교섭단체) 규모의 보수야당이 탄생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자유선진당 관계자는 "궁극적인 보수대연합을 가정하고 각 당 대표들이 모여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안다"며 "정치권에서 하는 일이 늘 그렇듯 쉬운 일부터 처리해 가다 보면 세 정당이 한 둥지를 트는 상황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진보진영에선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내달 25일 통합을 위한 창당대회를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친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세력인 국민참여당의 동참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와 조승수 진보신당 대표는 28일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창당을 위한 합의문에 서명했다. 쟁점이 됐던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문제는 추후 논의하기로 하고 우선 당 대 당 통합작업을 서두르기로 했다. 민주노동당은 상대적으로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에 호의적인 반면 진보신당에선 이념적 차이를 이유로 함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민주노동당 관계자는 "내년 선거까지 다소 시간이 있기 때문에 무리가 적은 일부터 추진'합의하고 있다"며 "정치적인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통합 논의도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될 것"이라고 했다. 국민참여당은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부상에 힘입어 진보정당과의 통합은 물론 추후 '통합진보정당'과 민주당 간의 대통합 과정에서도 목소리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정치권에선 이들 군소정당들이 하나로 뭉친 '통합정당'과 한나라당'자유선진당 등 기성정당 간의 대통합 여부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달 24일 무상급식 대상자 범위 결정을 위한 서울시 주민투표 이후 복지 논의에 불이 붙으면서 내년 두 선거가 '보수 대 진보'의 진검승부가 될 경우 대통합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