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공생 발전, 말보다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으라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30대 그룹 총수들과 만나 '공생 발전'에 대기업이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시장경제를 지키고 우리 사회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힘만으로는 되지 않고 기업이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국부 생산의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대기업이 나서지 않으면 공생 발전은 어렵다는 것은 당연한 얘기다.

하지만 대기업의 움직임은 굼뜨기만 하다. 이날 간담회에서 제시된 방안은 올해 채용과 투자 규모를 지난해보다 각각 12.7%, 14.3% 늘린다는 것뿐이다. 물론 미국'유럽발 재정위기로 세계적인 수요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이 정도도 노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공생 발전은 기업 자신을 위한 건강한 경제 생태계 조성의 필수 요건임을 자각하고 더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무엇보다 겉으로는 상생을 말하면서 뒤로는 과거의 악습을 되풀이하는 이중성부터 버려야 한다. 굴지의 대기업이 상생협약서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협력업체에 납품단가 인하를 요구한 사실은 참으로 실망스러웠다. 대기업은 동반 성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지만 중소기업은 체감하지 못하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재산의 사회환원도 범(汎)현대가(家)에서 시작됐지만 다른 재벌의 움직임은 아직 없다.

굼뜨기는 정부도 마찬가지다. 대통령이 공생 발전을 새 국정목표로 제시한 지 보름이 넘었지만 아직 구체적인 후속조치는 나오지 않고 있다. 특히 악화되고 있는 지방경제를 살릴 대책은 실종된 지 오래다. 현 정부 정책담당자의 머리에서 지방경제 문제는 지워진 듯하다. 지방 사람에게 공생 발전이 공허하게 들리는 이유다. 대기업에 협조를 구하기에 앞서 정부부터 신속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