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헌법 제21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언론'출판의 자유와 결사의 자유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개인이나 단체 등이 자신의 의견이나 사상 등을 표현하고 또한 그것을 출판물을 통해 인쇄'배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매체의 홍수 시대다. 직장에서 또는 가정에서 정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간행물들이 넘쳐난다. 어쩌면 너무 풍족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간과하기 쉽다. 다양한 메시지를 담아내는 '틀'을 미디어라고 볼 때, 지역에서 발행되는 매체를 살펴봄으로써 250만 대구시민들이 영위하는 삶의 형태와 사유를 짐작할 수 있지 않을까. 대구를 기반으로 하는 정기간행물은 어떤 종류가 있고 규모는 얼마나 될까?
◆대구시 등록 정기간행물 총 155종
대구시에 등록된 정기간행물은 2011년 9월 현재 모두 155종이다. 매체 종류별로 살펴보면 일간신문이 5종, 일반 주간신문 6종, 특수 주간신문 29종이다. 주간신문은 크게 일반과 특수 두 종류로 나뉘는데 일반은 매일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주간매일'처럼 종합지 성격을 가지는 매체이고, 특수 주간신문은 특정 분야만 다루는 것으로 법인이 아닌 개인도 발행인이 될 수 있다.
잡지는 모두 69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문학, 건강, 종교, 환경, 복지 등 다양한 장르를 망라하고 있고, 각급 단체 및 기업의 사보도 포함된다.
대구에서 발행되는 잡지는 종류에 비해 역사는 길지 않다. 전체 69종 중 2000년 이전에 등록된 잡지는 10개에 불과했다.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잡지는 '양봉계'로 1967년에 창간호를 낸 이래 지령을 이어가고 있다. 이 밖에 비교적 긴 지령을 이어온 잡지는 주로 종교단체에서 발간하는 책자다.
◆정간물도 인터넷'모바일 바람
그러나 이들 정기간행물이 모두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것은 아니다. 발행 주체의 경제적 사정, 콘텐츠의 한계 등을 이유로 정상 발간과 배포에 어려움을 겪는 게 사실이다. 대구시청 공보관실 김완석 주무관은 "정기간행물은 정간이나 휴간을 할 때 별도의 신고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정확한 집계를 내기가 힘들다"며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계간지는 2년) 발행을 중단할 경우에는 직권으로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초고속 인터넷'모바일 등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정기간행물 등록에서도 나타났다. 대구시에 등록된 인터넷신문은 모두 44종이고, 인터넷뉴스서비스가 1종이다. 전체 정간물의 3분의 1에 가까운 수치다.
인터넷신문의 경우 모두 2005년 이후 등록됐고, 등록과 폐업의 부침이 심했다. 올해만 하더라도 신생 등록 인터넷신문은 14종이고, 2종은 활동을 하지 않아 등록취소됐고 8종은 폐업했다. 김 주무관은 "대구에서 등록된 인터넷신문 중 적정 취재'편집 인력 요건을 갖추고 일정한 기사 생산 능력을 가진 곳은 30% 남짓으로 파악된다"면서 "일부의 경우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고 이를 악용하는 경우도 있어, 행정적으로 정리를 유도하면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시 규모 비해 정간물 부족
대구의 정간물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연도별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01년 70종이던 것이 2006년 100종을 넘어섰고, 외환위기를 겪고 잠깐 주춤했다가 2010년에 150종을 돌파했다. 하지만 정간물의 발행 규모를 다른 도시와 비교해 봤을 때 대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표 참조) 또 많은 수의 정간물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게 현실이다.
출판편집디자인회사인 '홍익포럼' 나윤희 대표는 "정간물은 그 사회(기업)를 대변하는 커뮤니케이터이다. 특히 대구경북은 다른 지역에 비해 경기침체, 매체의 수준, 제작자와 독자의 책에 대한 문화적 인식 등이 함께 시장 축소를 촉발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지역 구분 없이 넘나드는 소셜서비스로 인해 '지역만의 이슈' '지역만의 문화'가 실종되었다"고 말하면서 "지역의 매체 활성화는 선택이 아니다. 이슈가 실종된 사회의 필수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석수기자 sslee@msnet.co.kr
※대구시 등록 정기간행물 현황 (2011년 9월 현재)
◆일반일간신문 5종
매일신문
영남일보
대구신문
대구일보
대구연합일보
대구매일
가톨릭신문
◆일반주간신문 6종
주간매일
팔공신문
위클리포유(WEEKLY4U)
머니&피플 VIEW
(주)대구우리신문
7 days(세븐데이즈)
◆특수주간신문 29종
주간 한국청소년신문
영남의정신문
푸른신문
대구 달성신문
전국장애인복지신문
대한노인복지신문
@Job(앳:잡)
창가타임즈
대한시사신문
한빛신문
한국관광신문
디지인포케어
대구문화예술신문
유림신문(儒林新聞)
대한체육신문
신문동의보감
세종교육정보신문
대구멘토아카데미
대구교육정보신문
달성교육정보신문
대구글로벌신문
유아교육정보신문
동그라미교육신문
영남기독타임즈
창원신문
글로벌비전신문
Green Island Dokdo
에듀피아교육정보신문
◆잡지 29종
인쇄하는 사람들
양봉계
광명
여론조사
우먼라이프(Woman Life)
경찰피스
빛
까치패트롤
법보시
건강한 여성 행복한 가정
차와 사람들
한비문학
M+한국(M플러스한국)
메디진
Inno-Venture Leaders
월간 수영
건강백세
아이11(EYE11)
엔지니어링 플러스
무지개세상
한고을
경북능금
불국토
아스타티비(AstaTV)
Medi Tour
다사랑
그린 펜(green pen)
따뜻한유아세상
대구한마음
대한민국 新택리지를 가다
IBL교육저널
월간문화
CEO라이프
아이비매거진(IVY MAGAWINE)
전기산업
GOLF AND(골프앤)
포켓플러스
문교
CEO경북
공구사랑
채움아트 매거진
월간 아리랑
엔에스에듀
아이위즈
마음의 창
일하는 멋
민주반월보
누룩(NEWLOOKS)
투지
나무(The tree)
Christian Traveler
수필세계
사람의문학
계간미륵
차생활
시사뉴스채널
아람문학
문장
대경포럼
덕영치과병원보
D&R 리더스
DGB Economic Review
영남문학
진명향기
대구예술
품앗이
시와반시
음악과 문화
낙동강문학
◆인터넷신문 45종
우리교육신문
법률경찰뉴스
TK일보
대구인터넷뉴스
하브랜드(HABLAND)
평화뉴스
대구경제신문
눈과안경(eyeng)
대구경북뉴스DGN
경북제일신문
시사붇다신문
달성뉴스
한울문화
해피뉴스
썬뉴스
GMB NEWS
에스비아이한국소비자방송
국제I저널
달성메아리
민족일보
휴먼인타임즈
두레월드
대구달성인터넷뉴스
대구달서인터넷뉴스
대구남부문화신문
한국장애인연합신문
한국시사뉴스
줌인코리아대구경북
대구매일
경북신문
대구경북씨앤비뉴스
네이팜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예전비전교육신문
아이뜨레교육복지신문
라인교육복지신문
대구경북코리아뉴스방송
현대창업경영신문
영남경제
한국미래신문
부산매일
행복숲교육신문
대구톱뉴스
라이프플러스
네비인사이드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