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유사석유 폭발 사고 막을 특단의 대책 세워라

유사석유를 취급하다 적발된 전력이 있는 주유소가 최근 잇따라 폭발 사고를 일으키면서 운전자들을 불안케 하고 있다. 많은 사상자를 낸 수원의 주유소에 이어 지난달 28일 폭발 사고를 일으킨 경기도 화성의 한 주유소에서도 불법 유사석유 저장 탱크가 발견됐다. 경찰은 탱크에서 새어 나온 유증기가 폭발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문제는 유사석유 판매업소가 전국에 수천 곳이 넘어 언제 어디서 또 폭발 사고가 일어날지 시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석유관리원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유사석유를 팔다 적발된 업소가 2008년 2천700개소, 2009년 3천40개소, 지난해 2천300여 개소에 달했다. 올 들어 8월까지 적발된 곳만도 2천120개소에 달해 유사석유 판매가 독버섯처럼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보여준다. 올 상반기에 불법 유사석유를 팔다 적발된 대구경북 지역 소재 주유소만도 40곳에 이른다.

솔벤트'톨루엔 등을 섞어 만든 불법 유사석유는 인화점이 낮고 폭발성이 강해 정상 휘발유보다 폭발 사고 위험이 높다고 한다. 더욱이 단속 때문에 몰래 탱크를 설치하다 보니 유증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사고 가능성이 훨씬 커진다. 불법 유사석유 판매가 근절되지 않을 경우 이 같은 폭발 사고가 지뢰처럼 우리 발밑을 노리게 되는 것이다.

이들 업소들은 1년 이내에 세 차례 적발돼야 등록이 취소되는 법 규정을 악용해 벌금을 물고도 계속 유사석유를 팔다 폭발 사고로 이어졌다. 무엇보다 유사석유 판매가 탈세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불법 판매업소들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일부 불법 업소들 때문에 정상적인 주유소들과 운전자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단속을 강화하고 단 한 차례만 적발돼도 바로 등록을 취소해 다시는 이 업종에서 발붙이지 못하도록 철퇴를 가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