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역사교과서 고쳐달라" 中 요구에…즉각 수정한 외교부

5년간 교과서왜곡 수정 요청…중국은 한차례

중국이 우리나라 역사 교과서 내용을 바로잡아달라는 요청에 대해 외교부가 일사천리로 응답해 수정한 일이 뒤늦게 불거졌다. 지난 5년간 우리나라가 중국에 요구한 역사 교과서 왜곡 수정 요청에 중국이 단 한 차례도 응하지 않은 것과는 크게 대조돼 사대주의 외교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지난해 8월 16일 중국은 우리나라의 금성출판사 고등학교 세계사의 티베트 관련 내용이 "티베트 독립 지지자들의 일방적 주장만을 기술하고 있다"고 수정을 요청했다. 이에 외교부 관계자가 구두로 교육과학기술부 측에 내용을 전달했고, 외교부 관계자가 해당 교과서를 직접 들고 가 수정보완까지 요구했다. 열흘 뒤인 27일 교과부는 교과서 검정을 담당하는 (사)한국검정교과서에 '교과서 수정'보완 요구사항 전달'이라는 공문을 발송, 금성출판사 고교 세계사의 티베트 부분이 수정됐다.(표 참조)

이 같은 점을 분석, 지적한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주호영 한나라당 의원(대구 수성을)은 5일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긴급한 사안도 아닌데 공문서도 없이 외교부가 교과부에 시정을 요청하고, 직접 교과부 교과서기획과에 해당 교과서를 갖고 찾아간 것은 대단히 부적절했다"며 "중국 측의 역사 교과서 수정 요청에 대해 외교부가 역사 전문가들의 검토나 조언조차 없이 급하게 처리한 것은 더욱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반면 지난 5년간 우리나라가 중국에 중국 교과서 역사왜곡 부분을 수정 요청했지만 중국은 단 한 차례도 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의원 측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중국 교과서의 역사왜곡 부분은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 ▷진나라 장성을 평양까지 표시 ▷신라가 당의 제도를 모방해 과거제도를 실시 ▷다라니경이 당에서 인쇄돼 신라로 전래 ▷발해는 속말갈이 세운 지방정권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은 청의 번속국에서 중일 양국의 공동보호국화 ▷6'25 전쟁 시 북한의 남침 사실을 서술하지 않고 중국이 정의로운 사업에 참전했다고 한 서술 등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