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구미·경산·영천 등과 기능적 통합을"

대도시권 구축 정책 세미나 인근 도시와 파트너십 제시

경북도청의 북부권 이전에 따라 대구권이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구미, 경산, 영천 등 인근 도시를 기능적으로 통합한 '대구 대도시권' 구축과 이를 통한 개발 전략을 구체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쏟아졌다.

대경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와 지역발전위원회는 3일 오후 인터불고호텔에서 '세계로 나아가는 대구 대도시권'을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김동주 국토연구원 지역연구본부장과 전경구 한국지역개발학회장(대구대 교수), 이재훈 영남대 경영학부 교수, 서인원 대구경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은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지방 대도시권 정책 방향 ▷대구 대도시권 발전 전략과 산업활성화 방안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성장이 정체된 지방 대도시권이 광역경제권을 리더하는 추진체가 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도시권 육성 전략이 필요하고 특히 대구는 경북도청 이전 후 인근 도시를 산업적, 문화적인 기능을 연계하고 통합해야만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훈 영남대 교수는 "선진국들은 거점도시와 주변지역을 대도시권 단위로 계획'관리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균형발전을 꾀하고 있다"며 "미국의 대도시국가론. 영국의 대도시권 육성정책, 프랑스의 대도시 공동체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일본과 중국도 대도시권 육성 정책을 강력히 추진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와 관련 대구권 발전모델로 '지자체-기업 간 파트너십', '지역-교육기관 간 파트너십'을 제시했다. 대구와 구미시 간 대구경북 광역경제권과 같은 협의를 맺은 뒤 두 개의 파트너십 간 협정을 체결, 참여기업이 어느 지역에서 사업을 하든 같은 혜택을 받고 정책 교류 및 인재 교류까지 해야 한다는 것.

이 교수는 또 제조업 관련 산업(구미, 영천, 대구 등), 농산물 관련 산업(영천 등), 의료산업(대구), 교육산업(경산, 대구), 문화'관광산업(경주), 쇼핑산업(대구 등) 등 산업별 성장군을 재배치해야만 대구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역설했다.

박광길 대경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사무총장은 "비대화하는 수도권에 대응하고, 광역자치단체 간 행정통합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대구권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대도시권 중심의 개발정책 도입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방 대도시권 육성 특별법(가칭)' 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