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교영의 의료백과] 전문병원

국내에도 공식적인 전문병원 시대가 열렸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0일 병원급 의료기관 중 대구 11곳을 포함해 전국 99곳을 특정 질환이나 특정 진료과목에 특화해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병원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복지부는 2005년부터 전국 69개 병원에 대해 시범사업을 벌였다. 지금까지는 특정질환을 보는 병'의원들이 자의적으로 간판과 광고 등에서 '전문'이라는 명칭을 쓰는 것이 묵인됐지만 이달부터는 '전문병원' 명칭을 임의로 쓸 수 없게 된 것이다.

지정된 병원 분야는 질환별로 ▷관절 10곳 ▷뇌혈관 1곳 ▷대장항문 4곳 ▷수집접합 6곳 ▷심장 1곳 ▷알코올 6곳 ▷유방 1곳 ▷척추 17곳 ▷화상 3곳이다. 진료과목별을 살펴보면 ▷산부인과 13곳 ▷소아청소년과 2곳 ▷신경과 1곳 ▷ 신경외과 1곳 ▷안과 8곳 ▷외과 2곳 ▷이비인후과 2곳 ▷재활의학과 10곳 ▷정형외과 4곳이다. 한방병원 분야에는 한방중풍 5곳, 한방척추 2곳이 선정됐다.

이번에 전문병원으로 지정된 99개 의료기관들은 이달부터 3년 간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이란 명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후 3년마다 평가를 통해 재지정 또는 취소된다. 또한 전문병원으로 지정돼도 종전의 건강보험 종별 가산율이 그대로 적용돼 추가 부담 비용에 대한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소비자)들의 욕구가 커지고 다양해지면서 의료기관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가 '전문화'다. 암이나 소화기, 관절, 척추 등 특정 질환의 진료 특화를 내걸고 변신하거나 개업하는 의료기관들이 늘어났다.

하지만 '전문병원' '전문클리닉'을 표방하는 의료기관들이 우후죽순 늘고 있지만, 이들 의료기관을 검증하거나 평가할 제도적 장치가 없었다. 무늬만 '전문'인 의료기관들이 생겨난 것이다. 이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혼란과 불신을 키우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지부가 전문병원이란 '공인 제도'를 만든 것이다. 복지부는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전문병원 선정 기준을 마련했다. 해당 질병에 대한 ▷환자 구성 비율 ▷진료량 ▷전문적 의료진 및 시술 장비 ▷병상 보유 여부 등을 종합평가하는 것이다.

전문병원 제도는 환자들이 대학병원 등 대형종합병원으로 몰리는 실태를 바로잡아 의료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중소병원의 경쟁력 강화를 유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편에서는 전문병원 표기를 할 수 있는 것 외에는 특별한 인센티브가 없어 전문병원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kimk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