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자력의 미래 동해안에 있다] (5·끝) 원자력을 멈출 수 없는 이유

지역경제 살리는 신성장 동력…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이 정답

경북에는 10기의 원전이 있지만 연구기관과 병원 등 원전 인프라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 문화, 산업이 함께하는 원자력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사진은 신월성 1·2호기 건설현장.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경북에는 10기의 원전이 있지만 연구기관과 병원 등 원전 인프라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 문화, 산업이 함께하는 원자력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사진은 신월성 1·2호기 건설현장.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신울진 1·2호기 건설현장.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신울진 1·2호기 건설현장.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인수저장건물에서 직원들이 방사성폐기물 운반용기의 방사선량률을 검사하고 있다.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인수저장건물에서 직원들이 방사성폐기물 운반용기의 방사선량률을 검사하고 있다.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원자력발전은 발전소를 건설하고, 전기를 생산하고, 송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환경문제를 일으킨다.

수도권은 원자력이나 화력발전소가 없으면서도 한국 전체 전력의 38%를 소비하고 있으며, 연구기관과 병원 등 대부분의 원전 인프라를 갖고 있다.

경상북도는 원전, 방폐장 등 혐오시설을 보유한 데 대한 보상으로 교육과 문화, 산업이 함께하는 원자력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하고, 대안이 없는 현실에서는 원전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북의 양보'희생

10기의 원전을 보유한 경북에는 원전이 추가로 건설되고 있으며, 방폐장도 건설되고 있다. 반면 연구기관과 병원 등 원전 인프라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이에 따라 발전소 주변 경북지역 주민들은 원전으로 인한 불이익을 겪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최종 소비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송전탑이 필요하다.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되는 곳은 주로 해안가 마을이기 때문에 전력 수요가 많은 대도시까지 산을 넘고 들판을 가로질러 송전탑을 건설해야 한다.

수도권 전력 송전을 위해 거미줄 같은 송전선로가 들어서는 것이다. 산림 파괴와 경관 훼손, 땅값 하락, 전자파 피해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에 설치된 송전탑은 3만8천411개이고, 전체 길이는 18만4천221㎞에 달한다.

이처럼 한국이 전기 걱정 없이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경북지역의 양보와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월성원자력본부 인접 부지에는 신월성 1'2호기 공사가 한창이다. 신월성 1'2호기는 당초 2009년과 지난해 9월 준공 목표였다. 하지만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선정 등으로 내년 3월과 2013년 1월로 각각 준공일정을 변경했다.

월성원자력본부와 인접한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1단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방폐장 지상지원시설인 인수저장건물은 2009년 완공됐으며, 지난해 12월 울진원전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1천 드럼과 월성원전 1천 드럼 등 2천 드럼을 첫 반입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은 내년 12월 준공된다. 인수저장건물에 있던 방사성폐기물은 2013년부터 처분용기에 담겨 사일로에 최종 처분된다. 처분동굴이 다 차게 되면 빈 공간을 채움제로 채우고 지하수 이동을 막기 위해 동굴 입구를 콘크리트로 밀봉 폐쇄한다.

울진에서는 지난해 4월부터 신울진 1'2호기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오는 2018년 종합 준공될 예정이다.

◆사용후 핵연료'폐원자로 처리 '숙제'

한국의 원자력발전소도 곧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다. 월성 1호기는 내년에 수명 만료 연도에 도달한다.

한국도 이제는 원자력발전소를 폐쇄하는 문제와 직면해야 한다. 고준위 폐기물인 사용후 핵연료 처분과 폐원자로 해체 및 철거를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핵연료는 3년 정도 사용하면 원자로에서 꺼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핵연료를 넣는다. 이렇게 꺼낸 것이 사용후 핵연료로, 꺼낸 뒤에도 상당 기간 방사능이 높고 고온이다. 따라서 일단 원전 내의 임시 저장 수조에 넣어 냉각시킨다.

장기 관리방안으로는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해 핵연료를 추출하거나, 폐연료봉을 처분 용기에 밀봉해 지하 깊숙이 매립하는 '직접 처분' 방법이 있다. 재처리하는 경우에도 최종적으로 고준위 방사성 물질이 남게 된다. 대부분의 국가가 장기 관리 정책을 결정하지 않고 관망하고 있는데, 재처리 기술이 널리 보급되기에는 기술적'경제적으로 미흡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국내 여건에 적합한 사용후 핵연료 중'장기 관리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반면교사'

2009년 말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수출을 계기로 한국의 원전 기술력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자부심이 커진 가운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터졌다.

하지만 원자력을 폐기해야 한다는 주장은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화석 연료 이외의 주된 에너지원으로서 다른 대안을 내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미완의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원자력 에너지는 전기료를 낮게 유지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반핵운동도 원자력에 대한 대중의 공포감만 자극하기보다는 대안 제시형으로 진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원자력계의 주장이다.

원자력계도 마찬가지. 무엇보다 원전 운영과 사용후 핵연료 관리에서 잠재적 사고 위협이 존재하는데도 사고 확률이 낮다는 주장만 하는 것은 주민들을 설득시키기 어렵다는 것이다.

경북도가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자와 전문가뿐만 아니라 원자력에 비관적인 시민단체와의 신뢰와 소통이 필요하다.

경북도 김학홍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우리나라가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밑바탕에는 원전 10기를 보유하고 있는 경북의 양보와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면서 "이제는 원전과 방폐장 등 혐오시설만 보유한 데 대한 보상으로 교육과 문화, 산업이 함께하는 원자력 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경제의 신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