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對이란 제재' 석유시장 후폭풍 우려
핵무기 개발 의혹을 받고 있는 이란에 대한 제재가 전세계 유가 폭등으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미국과 동맹국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대(對)이란 제재에 참여하기로 한 11개국 대표가 로마에서 회의를 열고, 국제 유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이란의 원유 수출에 제재를 가할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회의에는 선진 7개국(G7)외에 한국, 호주, 사우디 아라비아 등의 외무·재무장관과 유럽연합(EU) 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서방이 이란의 원유 수출을 막거나 에너지 교역을 관장하는 이란 중앙은행에 제재를 가하는 방안을 선뜻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국제 석유시장에 찾아올 후폭풍 때문이다.
작년 한 해 동안에만 이란은 하루에 원유 260만 배럴을 전 세계에 수출했다. 이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수출량이다.
그럼에도 이란의 핵무기 개발과 테러범죄 지원을 막으려면 이제는 '원유수출 제재' 카드밖에 남지 않았다는 여론이 최근 몇 주 사이에 서방 내에서 비등해진 상태다.
이에 따라 대이란 제재 참여국들은 이란의 원유수출이 중단될 경우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 등 산유국들이 원유 생산량을 늘려 공백을 채워주길 촉구하고 있다.
또한 서방은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동맹국과 EU 회원국 전체가 단결된 태도로 대이란 제재에 참여하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이 이란산(産) 석유수입 중단에 참여할 가능성은 거의 없으므로, 나머지 국가만이라도 힘을 합쳐 이란을 압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란 제재'와 '유가폭등 저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회의적인 의견도 만만치 않다.
쿠웨이트 에너지 당국의 한 관계자는 "이란의 원유 수출이 중단된다면 하루에 360만 배럴에 달하는 이란의 원유 공급량을 나머지 걸프국들이 채울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