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총선·대선 겨냥 대규모 연대 논의
내년도 총선과 대선을 통해 정권 교체를 희망하는 진보진영 시민사회가 대규모 연대 기구를 만들어 선거에 뛰어드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25일 여러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범 진보단체 연대기구를 결성하자는 제안이 나왔고 깊이있게 거론되고 있다.
안진걸 참여연대 사회경제팀장은 "정책 과제 발표와 투표 촉구, 이명박 정부 심판론 등을 망라한 대규모 총선 연대기구 결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내년 1월 중순이면 밑그림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규 한국진보연대 민생국장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나 4대강 사업, 등록금 문제 등 다양한 현안을 한데 모아 공동으로 지지 후보와 낙선 대상 후보를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와 논의를 시작했다"며 "다만 과거 총선연대 정도의 힘을 지니려면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논의는 한미 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범국본)와 반값 등록금 국민본부 등 진보진영에서 활동 중인 연대체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총선 대응기구가 꾸려지더라도 '총선연대'처럼 특정 후보에 대한 낙천·낙선운동에 방점을 찍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를 통해 시민들이 특정 정치인에 관한 견해를 일상적으로 나누는 등 상황이 많이 변했기 때문이다.
이보다는 현 정부의 실정을 부각하면서 심판론을 제기하고 분야별 정책과 법안을 마련, 공약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쪽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7월 진보진영 400여개 단체가 복지를 중심으로 한 정책과제 제시 등을 담당할 '복지국가 실현 연석회의'를 출범한 것도 총선, 대선을 염두에 둔 움직임이다.
기존 연대체들이 의제별로 각자 낙천·낙선운동을 전개할 가능성은 있다.
범국본은 그간 여러 차례 집회와 정당연설회를 열어 한미 FTA 비준 찬성 의원 151명을 총선에서 반드시 심판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반값 등록금 국민본부는 반값 등록금 도입에 반대한 의원 명단을 만들어 공개하고 총선에서 낙선운동을 벌인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김종남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시민사회 내부에 총선연대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2000년처럼 특정 후보를 집중 마크하는 식의 낙선운동을 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지금은 단체 주도보다 SNS를 활용하는 시민 개개인이 낙선운동에 나서는 쪽이 훨씬 위력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