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robot)은 체코어로는 '농노'(農奴) 또는 '고된 일'을 뜻하고, 슬로바키아어, 러시아어, 폴란드어를 포함한 슬라브계 언어에서는 단순히 '일'을 의미하는 '로보타'(robota)에서 나온 조어(造語)다. 로보타는 인도-유럽어 어원인 orbh-에서 유래했으며 독일어 '아르바이트'(arbeit)도 여기서 파생됐다. 이렇게 만들어진 로봇을 세계화시킨 사람은 체코의 극작가 카렐 차페크이다. 그러나 처음 생각해낸 사람은 1945년 나치 수용소에서 살해된 그의 형 요제프라고 한다.
1890년 오늘 태어났다. 1920년 발표한 희곡 '로섬의 만능 로봇'에서 로봇이란 말을 처음 소개했다. 이 작품은 인간이 로봇을 만들어 고된 일을 시키지만 로봇이 지능과 반항정신을 습득해 인간을 멸망시킨다는 내용으로, 미래의 기계문명 사회가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있음을 경고한 작품이다. 우리나라에는 회월 박영희가 1925년 '개벽'에 '인조 노동자'라는 제목으로 번역'소개했다. 밀란 쿤데라와 함께 체코어로 글을 쓴 가장 유명한 작가로, '흰 질병' '어머니' '도롱뇽전쟁' 등 조국을 삼키려는 나치에 맞서 싸울 것을 호소하는 작품도 냈다. 체코슬로바키아가 나치에 강제합병되기 전인 1938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정경훈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