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능력이 뒤처지는 학생들도 학교 생활에 애착을 갖게 됐어요."
지난해 2학기 주5일 수업제를 시범운영한 대구북중학교의 이영주 교무부장은 수업 시수 확보부터 토요일 활용 프로그램 계획까지 이 제도가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나하나 손을 댔다.
당초 주5일 수업제의 윤곽을 그릴 때 가장 신경이 쓰였던 부분은 수업 결손 우려를 해소하는 문제. 지난해까지는 한 달에 두 번 쉬었지만 4회로 늘면서 한 학기 수업 시간이 32시간 줄었기 때문이다.
"학교장 재량 휴업일을 하루 줄여 6시간, 한 주에 1회였던 7교시 수업을 2회로 늘려 18시간, 겨울방학을 이틀 줄여 12시간 등 모두 36시간을 확보했어요. 수업 일수는 며칠 줄었지만 수업 시간은 오히려 더 늘어났습니다."
이 교사는 프로그램 계획을 세울 때도 학생들이 얼마나 호응할지 걱정스러웠다. 하지만 댄스반, 연극반 등 문화'예술 부문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수학개념원리반, 영자신문반과 같은 교과 관련 프로그램에도 학생들이 찾아드는 걸 보면서 이 제도가 안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참가하도록 할 경우 토요일에 제대로 모일지 걱정스러웠죠. 막상 운영해보니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이 핵심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특정 단원을 깊이 있게 다루거나 흥미를 끄는 활동을 가미하니 학생들이 교과 관련 프로그램에도 관심을 보였어요."
이 교사는 전면적인 주5일 수업제가 정착되려면 모든 것을 학교에 기대려는 학부모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학교 예산이 한정된 상황에서 전 프로그램을 무료로 운영하려 하다 보면 자칫 프로그램의 질이 떨어지고 학생들이 외면할 수 있어서다.
"저소득층 아이들이야 당연히 배려를 하겠지만 나머지 가정은 약간의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그래도 사교육에 비하면 비용이 훨씬 덜 들어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채정민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