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빈곤층의 절반 이상이 1, 2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가구유형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1인당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빈곤인구 중에서 1인 가구 구성원 비율은 23.6%, 2인 가구는 31.3%였다. 빈곤인구의 절반이 넘는 54.9%가 1, 2인 가구에 속했다.
2006년에는 전체 빈곤인구 중 1인 가구 구성원 비율이 16.6%였고, 2인 가구는 30.3%였다. 전체 빈곤인구에서 1, 2인 가구 구성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6년 46.9%에서 2010년 54.9%로 4년 새 8%p 증가한 것이다.
1, 2인 가구의 빈곤인구는 6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됐다. 2010년 기준 1인 가구에 속한 빈곤인구의 72%는 60대 이상이었다. 2인 가구에 속한 빈곤인구의 68.2%도 60대 이상의 고령자다.
1인 가구 중에는 3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상대빈곤율이 빠르게 늘고 있다. 2006~2010년에 30대 1인 가구 빈곤율은 12.2%에서 16.4%로, 60대 이상 1인 가구 빈곤율도 65.9%에서 71.0%로 증가했다.
특히 2인 가구 중 20대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는 빈곤율이 4.8%에서 19.1%로 급증했다. 30대가 가구주인 가구도 빈곤율이 8.2%에서 9.1%로 상승했다.
2인 가구 가운데 두 세대가 함께 사는 2세대 가구인 한 부모 가구의 빈곤문제는 더 심각하다.
2세대 2인 가구 빈곤율은 2006년 24.49%에서 2010년 27.4%로 늘었다. 반면 1세대 2인 가구 빈곤율은 2010년에 12.98%로 한 부모 가구의 빈곤율보다 크게 낮았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