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은 지났지만 여전히 바깥 공기는 겨울의 끝자락을 못 벗어나고 있다. 이런 겨울철의 끝 무렵이면, 이상하게 조금만 움직여도 쉽게 피곤하게 느껴지고, 운동량도 부족하다 보니 몸과 마음 모두 무겁게 느껴지고 입맛도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무렵이면, 자연은 우리에게 입 안 가득 상큼한 향의 봄나물을 선물한다.
냉이는 겨울 동안 기력을 잃고 기운을 차리지 못하는 사람에게 보양식으로 통한다. 이는 채소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많고 비타민과 칼슘, 철분 등 무기질 역시 풍부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화기관을 강하게 만들며, 위와 간을 보호하는 효과까지 갖는 등 인체의 오장육부를 튼튼하게 하는 약초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냉이는 주로 무침과 된장찌개 등의 요리에 활용되면서 상큼한 향을 즐기는 가정이 많다. 행여 자녀들이 이러한 요리를 즐기지 않는다면, 튀김가루 등을 입혀 살짝 튀겨서 내어주면 아삭아삭한 식감이 그대로 살아있어 자녀들의 간식 및 남편의 맥주 안주 등으로 활용해도 좋다.
냉이는 잎과 줄기가 작고, 잎의 색이 짙은 녹색을 띠는 것을 고르는 게 좋다. 뿌리는 곧고 흰색을 띠는 것이 싱싱하다. 냉이는 흙을 털어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씻어 내고는 국과 찌개 등을 끓일 때는 뿌리도 함께 넣어주면 향긋하면서도 시원한 냉이 고유의 향을 즐길 수 있다.
달래는 '예로부터 들에서 나는 약재'라 하여 봄이면 임금 수라상에 꼭 오르는 나물로 비타민C와 칼슘, 인, 철분, 탄수화물 등이 풍부하다. 맛과 모양이 마늘과 비슷하여 산마늘로 불리기도 한다. 달래는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원기를 회복시겨 주고, 몸의 저항력을 강화하는 등 마늘과 효능이 비슷하다.
달래는 한방에서 불면증 치료제로도 널리 쓰이는데, 밤이 서서히 짧아지는 봄 무렵에 제격이다. 풍부한 비타민 함유로 환절기 거칠어지는 피부에도 효과적이다. 달래는 알뿌리가 굵을수록 향이 강하지만, 너무 크게 되면 맛이 떨어지므로, 적당한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줄기가 마르지 않은 것을 선택해야 한다.
두릅나무의 어린 순은 단백질, 인, 철분, 칼슘, 섬유질이 풍부한 봄철 대표 먹거리로 빈혈, 신장병, 당뇨병 등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 특히 다이어트와 생리불순으로 고생하는 여성과 스트레스에 민감한 사람에게도 효과적이어서 머리를 맑게 하고 피로를 풀어주고, 생리통을 완화하는 음식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두릅은 순이 연하고 굵고, 껍질이 마르지 않으며, 잎이 피지 않고 향이 많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동아백화점 농산팀 심상호 팀장은 "봄나물은 쌉싸래한 맛 뒤에 느껴지는 개운함과 향긋한 향이 잃어버린 입맛은 물론 원기까지 되찾게 해준다"고 말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