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법 찾은 신공항…대구·부산 大합의 자리 만들라

영남 단체장·국회의원 모두 동의 이끌어내야…새누리당 결자해지를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발언한 '신공항 반드시 추진'은 신공항을 둘러싼 논란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박 위원장은 또 입지를 둘러싼 싸움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시했다. 신공항 공감대 확산이 급선무라고 했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관에 입지 선정을 맡기자는 제안도 했다.

이는 대구와 부산이 한 치의 양보도 하지 않고 정면충돌로 치달을 때부터 신공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으로 인식되어 왔던 것이다. 너무 오랜 시간을 허비하고, 너무 멀리 돌아서 얻어낸 결론이다.

◆신공항 정책 논란의 경과

지난해 3월 말 이명박 대통령의 신공항 추진 포기 발표 당시 포기 판단의 배경으로 정부가 '비용 대비 편익'(B/C)의 문제라고 했으나 정치적으로는 대구와 부산 사이의 갈등 때문이었다는 이야기가 파다했다. 해답은 대구와 부산의 합의에 있다는 말은 그래서 나왔다.

박 위원장의 이날 발언 역시 같은 배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 정부의 신공항 추진 포기 방침이 발표된 직후부터 신공항 논란에 종지부를 찍기 위한 유일한 카드로 인식돼 왔기 때문이다. 양쪽이 합의할 수 있는 카드가 아니고서는 신공항은 물건너 가는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지난해 3월 이후 잠잠하던 신공항 문제는 선거의 해가 밝아오자 다시 들썩였다. 지난해 이 대통령의 추진 포기 발언 직후 박 위원장은 대구에서 "당장 경제성이 없더라도 미래에는 분명 필요할 것"이라며 "동남권 신공항은 계속 추진돼야 한다"고 했다. 지역에서도 그랬다.

박 위원장도 이 같은 지역 여론을 의식해 이달 9일 새누리당 출입 지방기자들과 함께한 자리에서 '영'호남 전체를 아우르는 공항' 건설을 약속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이 발언은 대구경북에서 '환영'받았지만 부산을 의식하지 못한 것이었다.

박 위원장의 발언에 부산은 '대구경북의 손을 들어준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총선은 물건너 간 것'이라는 '부산발 SOS'에 박 위원장이 밝힌 신공항 공약은 14일 난타 당하는 처지에 직면했다. 그래도 숙지지 않는 부산의 반발에 16일에는 결국 총선 공약에서 빠지는 곤경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박 위원장의 리더십이 손상을 입었고 새누리당의 정책 능력 또한 의심을 받는 상황을 맞게 됐다. 결국 박 위원장이 다시 한 번 나서 '교통정리'를 한 것이다. 9일 신공항 추진 공약 발표 11일 만의 일이다.

◆남은 일

이제 박 위원장과 새누리당이 해야 할 일은 대구와 부산을 한 테이블에 앉혀서 합의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신공항은 두 지역의 합의가 없이는 애초에 될 수 없는 일이었다. 대구는 '부산이 사사건건 훼방만 놓는다'고 불만이었고, 부산에서는 '부산이 하는 일에 대구가 숟가락만 얹으려 한다'고 곱게 보지 않는 상황에서는 될 일도 안 되기 때문이다.

야권은 논외로 치더라도 영남권 5개 광역 단체장 가운데 4명이 새누리당 소속이고 68명의 국회의원 다수가 새누리당 소속이라는 점에서 신공항에 대한 '대합의' 선언이라도 해야 한다.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은 "당내에도 합리적인 인사들은 모두 박 위원장의 20일 발언이 정답이라고 한다. 대합의 선언이라도 필요하다면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박 위원장과 최고위원회의를 대신한다는 비상대책위원회의 그리고 새누리당 소속 시도지사와 국회의원들이 함께하는 자리라도 마련해 박 위원장의 발언을 재확인하고 여기에 모두 동의한다는 합의문이라도 발표해야 널뛰기 발언으로 일희일비했던 지역 주민들을 위무할 수 있다는 말이다.

대구의 신공항 추진운동 관계자도 "이제 남은 절차는 새누리당 소속만이라도 대구와 부산 그리고 경북과 경남의 관계자들이 한 데 모여 박 위원장이 밝힌 방침에 동의를 표하는 것"이라며 "하루 빨리 새누리당이 결자해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라도 신공항 문제는 새누리당을 곤경을 빠뜨리는 뇌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동관 정치부장 dkd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