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2015 세계물포럼 준비 본격 시동
'2015 제7차 세계물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대구시는 오는 12일부터 17일까지 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 열리는 제6차 세계물포럼에 참관단(시의회 의장, 국제관계자문대사 등 10명)을 파견한다.
이번 참관단 방문은 차기 대회 인수식과 아․태지역별 3자회담, 대구․경북 홍보관 운영 등 공식행사 및 행사운영 전반에 대한 벤치마킹과 차기 개최지로서 구실로 방문 한다.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 성공 개최를 위한 완벽한 준비와 향후, 블루골드 산업인 세계 물 산업의 중심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대구시와 공동 개최지인 경상북도(도지사 등 20여 명)를 비롯한 정부대표단으로 국무총리, 국토해양부 차관 등 30여 명이 참가하며, 유관기관 및 단체, 학계 등에서도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제6차 세계물포럼은 'Time for Solutions'이란 주제로 전 세계 200여 개국으로부터 국가수반, 장․차관, 지자체장, 기업인, 시민단체(NGO) 등 30,000여 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차기 대회 인수식에서는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김화자 대구시의회 의장의 대회기 인수와 함께 2015 제7차 세계물포럼 참가 환영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 지역별 과정의 아․태지역 3자회담에서 대구시의 수자원 우수사례와 이스탄불 물 합의서의 이행을 위한 노력 등을 소개하며, 대구․경북 홍보관 운영 및 행사운영 전반에 대한 벤치마킹 등을 통해 2015 제7차 세계물포럼 성공개최를 위한 전략 모색과 참가국에 대한 다양한 네트워킹 활동 등 차기 개최지로서의 구실을 다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 2월 24일에는 세계물위원회(WWC)와 국토해양부, 외교통상부,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가 제7차 세계물포럼 관련 프로그램 및 조직 구성, 운영, 재원 등에 대해 양측이 합의를 완료해 차기 개최도시로서 지위를 공식적으로 부여받는 협약을 체결했다.
'2015 세계물포럼'은 세계물위원회(WWC)에서 3년마다 개최하는 행사로서, 국제기구 및 각국의 정상 등 주요인사와 민간기업․NGO의 물 관련 전문가 등이 참가하는 지구촌 최대의 물 관련 국제행사다.
아울러, 물 관련 기업의 첨단 기술 경연이 펼쳐지는 '물 엑스포' (Water EXPO)가 동시에 개최된다.
'물 엑스포'를 통해 한국의 물 관련 기업의 우수한 제품과 기술에 대한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게 됨으로서 현재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세계 물 관련 시장에 지역 기업의 진출이 대폭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물포럼 개최를 통해 우리나라가 얻게 되는 효과는 약 2,000억 원의 경제적 편익과 2,000여 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세계물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추진 전략과 물 산업 육성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대구․경북을 물 중심 도시로 도약시킴은 물론 물과 녹색성장의 선도 도시라는 이미지를 세계에 널리 알리고 21세기 블루골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물 산업 선점을 통해 새로운 낙동강 시대를 활짝 열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대구․경북이 상호 긴밀한 협조 체제로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말했다.
뉴미디어국 하인영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