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만사에는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있다. 1970년대 미국 사회를 뒤흔든 워터케이트 사건만큼 이를 잘 보여주는 예도 없다.
닉슨은 임기 중 사임이라는 치욕을 안았지만 이 사건을 맡은 존 시리카(1904~1992) 판사는 '전국구 스타'가 됐다. 대통령 집무실에서의 대화 녹음테이프 제출을 명령해 닉슨 사임의 단초를 마련한 게 그다.
1904년 오늘 태어났다. 워터게이트 사건을 맡기 전까지는 별볼일없는 경력의 지방법원 판사에 불과했다. 재판에서 법률적 실수가 잦아 능력도 의심받았다. 워터게이트 사건을 맡게 된 것은 순전히 운이었다. 워터게이트 건물이 그의 관할 구역인 컬럼비아 특별구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 기회를 십분 활용했다. 사건 주범 전원에게 잠정적으로 종신형을 구형했다. 그들을 압박해 백악관이 배후세력임을 밝혀내기 위해서였다.
이에 주범 7명 중 5명은 유죄를 인정하고 백악관이 배후임을 토설했지만 사건 기획자 2명은 거래(배후 자백-형량 축소)를 거부했다. 그러자 시리카는 기획자 중 고든 리에게 20년형에 벌금 4만달러라는 중형을 선고했다.
이렇게 해서 붙은 별명이 '맥시멈 존'(최고형량 존)이다. 이런 유명세를 타고 1973년 타임스의 올해의 인물로 선정됐다. 정경훈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