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연장 근로 한도에 휴일 근무를 포함시키려는 정부 방침에 대해 업체 10곳 중 8곳 이상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313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휴일근무를 연장근무에 포함해 근로시간을 제한하려는 정부의 계획'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84.0%가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휴일근로를 하는 이유에 대해 70%는 '납기일을 맞추기 위해', 23.3%는 '업종 특성상 불가피해서' 등을 들었다. 휴일근로 빈도의 경우 '주문량 증가 등 특별한 상황이 발생할 때만 한다'는 응답이 68.1%였고 '매 휴일 일한다'는 23.3%였다.
기업들은 휴일근로를 제한하면 어떤 부작용이 발생하는가에 대한 질문(복수응답)에 '납품물량'납기일을 못 지켜 거래처를 잃는다'(45.7%), '인건비 상승으로 제품 원가가 높아져 기업 경쟁력이 낮아진다'(42.5%), '신규 채용이 어려워 인력난 가중된다'(39.9%), '생산시설 해외이전 혹은 해외생산 비중 확대'(12.8%) 등을 답했다.
또 휴일근로 단축에 따른 임금 변화에 대해 64.2%가 '근로자의 임금이 다소 줄어들것'이라고 했고 '매우 많이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도 20.1%였다. 반면 '임금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15,7%였다.
제조업체들은 바람직한 근로시간 단축 추진 방향으로 개별 기업의 사정에 맞게 자율적으로 추진하거나 노사정 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는 의견을 비췄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