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골관절염 환자들이 크게 늘고 있다. 골관절염은 관절을 감싸고 있는 연골의 손상으로 관절 자체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부른다. 2009년 기준 65세 이상 국민 37.8%가 골관절염 치료를 받고 있을 정도로 고령 환자가 늘고 있으며, 치료제 또한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다.
모든 약이 그렇듯이 관절염 약에도 부작용이 따른다. 따라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약을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 안전사용 매뉴얼을 발간했다. 이 매뉴얼에는 국소외용제, 먹는 약, 주사제에 대한 정보와 병용투여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담겨 있다.
케토프로펜과 디클로페낙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캡사이신 등을 사용한 크림제, 파스류 국소외용제는 눈이나 점막, 상처가 있는 피부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 사용 후 발진이나 두드러기가 있는 경우 즉각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특히 케토프로펜 제제는 햇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 두드러기, 물집,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외출할 때 약을 바른 부위를 옷이나 자외선 차단제 등으로 가려야 한다.
먹는 약으로는 아세트아미노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쎄레콕시브(COX-2 선택적 저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반드시 식후에 복용해야 한다. 식사를 하지 못할 경우 우유나 가벼운 음식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 더부룩함, 메스꺼움, 구토, 소화불량, 식욕상실 등 위장에 나쁜 반응이 나타나면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해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이들 약을 복용하면 간효소치가 상승할 수 있는데 복용을 중단하면 정상으로 돌아오며, 계속 복용해도 정상화될 수 있다.
두 가지 이상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병용 투여하는 것은 효과에 비해 부작용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어 전문가들의 철저한 확인이 필요하다.
식약청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히알루론산나트륨 성분과 같은 관절 내 주사제를 사용할 경우 투여 후 관절 운동이나 무리를 주는 자세를 피할 것을 권고했다.
관절염 치료에는 대부분 지속적인 약물 사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약물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개인에 따라 반응 및 부작용에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약을 사용할 때는 의사나 약사의 지시를 잘 따라야 한다. 골관절염 치료제에 대한 제품별 허가 용법용량, 사용상 주의사항은 식약청 의약품 정보 홈페이지(http://ezdrug.kfda.g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kim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