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 전문가 양성에 앞장선다.
김동연 기획재정부 2차관은 19일 제3차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지원 정책협의회'에서 최근 동시다발적인 FTA 체결에 따라 통상전문가를 본격적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대부분 중소기업에는 원산지, 조달, 생산, 물류, 바이어 발굴 등 분야에서 전문가가 부족해 FTA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원산지관리사 제도를 공인자격인증제로 바꾸고, 시험횟수를 연 2회에서 3회로 늘리기로 했다.
응시 요건인 사전교육은 국제원산지정보원과 업무협력(MOU)을 맺은 FTA 강좌, 무역협회의 'FTA 스쿨' 등으로 인정 범위를 넓히고 앞으로는 사전교육을 안 받아도 되게 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대기업의 퇴직임원도 활용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 1억5천만원을 투입해 무역경험 20년 이상의 대기업 퇴직임원 80명을 대상으로 FTA 상담원 전환을 위해 교육한다.
대학의 FTA 강좌 지원도 늘린다. 교양강좌의 20% 이상을 FTA 관련 과목으로 개설하고, 최대 3학기까지 단계별 패키지 강좌를 열도록 지원한다. 또 내년부터는 전국 광역권별로 FTA 석사과정을 운영하는 전문대학원을 선정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