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고경영자(CEO)의 상당수가 올 하반기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이들은 그 원인으로 '유럽 재정위기의 해소 지연'을 지목했다.
24일 삼성경제연구소가 국내 CEO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올해 하반기 경제성장 전망에 대해 '유럽 재정위기 해소가 지연돼 글로벌 경제가 저성장 추세를 지속한다'고 답했다. '위기 악화로 경제파국이 불가피하다' 는 응답은 4.9%였으며 위기 해소 등으로 인한 성장세를 예측한 이들은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응답자들이 뽑은 유럽 재정위기 원인으로는 '포퓰리즘 정책에 따른 각국의 과도한 재정지출'이 41.5%로 가장 컸으며 '재정통합 없는 통화동맹'(24.6%), '유럽 금융기관들의 무분별한 대출'투자'(14.2%)가 그 뒤를 이었다.
위기를 겪고 있는 그리스가 연내에 유로존을 탈퇴할 가능성에는 40.9%가 '낮은 편'이라고 답했다. '높은 편'(29.9%) 또는 '불가피하다'(9.8%)는 답변도 적지 않았다.
유럽 재정위기가 자신들이 속한 회사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국내소비'투자심리 악화'가 33.5%로 가장 많았다. '환율 변동성 증대로 인한 리스크'(28.2%)와 '금융시장 불안과 자금조달 어려움'(18.6%), '대(對) 유럽 수출 감소'(13.6%) 등이 뒤를 이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이재명 정부 4대강 보 개방·철거 본격화…여야 전운 고조
"北 고 김영남, 경북고 출신 맞나요"…학교 확인 전화에 '곤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