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비박주자들 "5·16 쿠데타냐"… 박근혜 "아뇨"

박근혜도 정면 대응…합동연설회 마다 설전

새누리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정책이나 비전보다 과거 행적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는 지적(본지 8일자 1면)에도 여전히 '과거회귀적' 토론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권역별로 치러지는 토론회나 합동연설회에서 '5'16'은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다.

급기야 박근혜 대선 경선 후보는 8일 CJB청주방송 주최 대선 경선 후보토론회에서 "그것을 쿠데타로 부르든 혁명으로 부르든 5'16 자체가 있었다는 것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 쿠데타냐 혁명이냐 싸우는 자체가 정치인의 할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물을 만큼 물었고 답할 만큼 했으니 이쯤에서 그만하자는 뜻으로 읽힌다. 하지만 박 후보의 이 같은 제안에도 비박근혜계 경선 후보들은 5'16에 대한 박 후보의 입장을 다시 물었다.

김태호 후보는 "5'16 자체를 쿠데타로 인정하느냐"고 물었고, 박 후보는 "아뇨. 그것도 (역사의 평가에) 맡겨야 된다"고 답했다. 김문수 후보가 "5'16이 헌법 질서를 일단 무너뜨리고 짓밟은 것 아니냐"고 하자 박 후보는 "나라 전체가 공산화될 수 있는 위기이고, 자유민주주의가 통째로 무너질 수 있다고 할 때 어떤 판단을 해야 하는지, 그다음엔 어떤 역사가 이뤄졌는가를 갖고 얘기해야 하기 때문에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고 답했다. 김문수 후보가 유신까지 언급, "헌법 질서를 파괴한 것"이라고 하자 박 후보는 "유신에 대해서는 아무 얘기도 안 했다. 오히려 그 당시에 피해 본 분들에 대해서 사과 말씀을 드리고 나머지는 역사의 판단에 맡겼다"고 했다.

임태희 후보가 같은 질문을 던지자 박 후보는 "과거에 묻혀 사시네요"라고 응수하며 넘겼다.

박 후보는 최근 5'16에 대한 자신의 입장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보도에 민감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 '구국의 혁명'으로 표현했지만 5년이 지난 7월 16일에는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했다. 이후 박 후보는 "정상적인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했다.

일각에서는 박 후보가 말을 할수록 꼬이고 있다며 여권 경선에서라도 '5'16 이슈'는 접어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박 후보를 밀어붙일 사안이 5'16밖에 없느냐는 시선에다 할 만큼 했으니 이제는 정책과 국정운영 철학을 내세워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까닭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