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정책이나 비전보다 과거 행적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는 지적(본지 8일자 1면)에도 여전히 '과거회귀적' 토론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권역별로 치러지는 토론회나 합동연설회에서 '5'16'은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다.
급기야 박근혜 대선 경선 후보는 8일 CJB청주방송 주최 대선 경선 후보토론회에서 "그것을 쿠데타로 부르든 혁명으로 부르든 5'16 자체가 있었다는 것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 쿠데타냐 혁명이냐 싸우는 자체가 정치인의 할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물을 만큼 물었고 답할 만큼 했으니 이쯤에서 그만하자는 뜻으로 읽힌다. 하지만 박 후보의 이 같은 제안에도 비박근혜계 경선 후보들은 5'16에 대한 박 후보의 입장을 다시 물었다.
김태호 후보는 "5'16 자체를 쿠데타로 인정하느냐"고 물었고, 박 후보는 "아뇨. 그것도 (역사의 평가에) 맡겨야 된다"고 답했다. 김문수 후보가 "5'16이 헌법 질서를 일단 무너뜨리고 짓밟은 것 아니냐"고 하자 박 후보는 "나라 전체가 공산화될 수 있는 위기이고, 자유민주주의가 통째로 무너질 수 있다고 할 때 어떤 판단을 해야 하는지, 그다음엔 어떤 역사가 이뤄졌는가를 갖고 얘기해야 하기 때문에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고 답했다. 김문수 후보가 유신까지 언급, "헌법 질서를 파괴한 것"이라고 하자 박 후보는 "유신에 대해서는 아무 얘기도 안 했다. 오히려 그 당시에 피해 본 분들에 대해서 사과 말씀을 드리고 나머지는 역사의 판단에 맡겼다"고 했다.
임태희 후보가 같은 질문을 던지자 박 후보는 "과거에 묻혀 사시네요"라고 응수하며 넘겼다.
박 후보는 최근 5'16에 대한 자신의 입장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보도에 민감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 '구국의 혁명'으로 표현했지만 5년이 지난 7월 16일에는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했다. 이후 박 후보는 "정상적인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했다.
일각에서는 박 후보가 말을 할수록 꼬이고 있다며 여권 경선에서라도 '5'16 이슈'는 접어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박 후보를 밀어붙일 사안이 5'16밖에 없느냐는 시선에다 할 만큼 했으니 이제는 정책과 국정운영 철학을 내세워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까닭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