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의원이 20일 열린 경선에서 84%의 압도적 지지를 얻어 새누리당의 제18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됐다. 박 의원이 경선 과정에서 일방적 우위를 보여 예상된 결과라 하더라도 역대 다른 경선과 비교해 민주 정당에서는 유례가 없는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로써 박 의원은 집권 여당의 첫 여성 대통령 후보이자 전직 대통령의 딸로서 처음으로 대권에 도전하게 됐다.
박 후보가 대권 도전에 나서게 된 데에는 원칙과 신뢰의 정치인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후광이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박 후보는 또 경선 과정에서 한국형 복지의 창출, 경제 민주화, 일자리 창출 등 시대가 요구하는 정책들을 제시했다. 박 후보는 이러한 평가에 힘입어 각종 여론조사에서 40%대의 견고한 지지율을 얻고 있다.
한편으로 박 후보에게는 부정적 평가도 따라다닌다. 경선 규정과 경선진행 방식을 둘러싸고 다른 경선 후보들의 의견을 소홀히 해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5'16군사정변과 유신체제에 대한 역사 인식 역시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공천비리 의혹을 대하는 자세도 적극적이지 않았다. 박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율을 얻었지만, 경선 투표율이 역대 최저 수준인 41%에 그친 점이 그의 한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박 의원은 후보 수락연설에서 이념과 계층, 지역과 세대,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는 국민 대통합을 이루고 국민이 모두 행복한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또 공천 시스템을 개혁하고 특별감찰관제 도입과 상설특검을 통해 친인척과 권력형 비리를 뿌리뽑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박 후보의 수락연설은 확고한 지지층 못지않게 반대층도 적지 않은 현실을 인식하고 자신에게 던진 과제라 할 수 있다.
박 후보의 국민대통합론과 국민 행복론이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으려면 더 변화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친박과 비박 구분없이 당을 아우르고 과거와 다른 정책 변화를 설명함으로써 국민과의 소통을 활발하게 해나가야 한다. 과거와 단절하는 역사 인식도 보여주어야 한다. 박 후보가 긍정적으로 더 많이 바뀌어야 정치가 발전할 수 있으며 야권 후보와 겨루는 12월의 대선이 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국민은 이번 대선이 차선의 지도자가 아닌 최선의 지도자를 뽑는 축제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