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민주당 공천 비리 의혹 수사, 알맹이 있는 결과를

새누리당에 이어 민주통합당에도 공천 비리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은 친노 성향의 매체 '라디오21' 대표 양경숙 씨가 4'11 총선 전에 세 명의 비례대표 공천 희망자로부터 40억 원을 받아 이 중 일부를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에게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 양 씨 등 네 명이 박 원내대표와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두 차례 만났으며 공천 희망자 한 명이 박 원내대표에게 500만 원의 개인후원금을 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또 양 씨와 박 원내대표가 총선 전에 통화와 문자 메시지를 3천 번 넘게 주고받았으며 공천 희망자 이모 씨의 휴대전화에 민주당 지도부 이름으로 '비례대표 공천에 도움을 주겠다'는 내용의 문자가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의혹에 대해 박 원내대표는 "내 이름을 거론하면서 비례대표 얘기를 주고받았다면 그들 간 얘기일 뿐 나와는 관계없다"며 연루설을 부인하고 있다.

검찰 수사는 양 씨 계좌에서 인출된 40억 원이 어디로 흘러들어 갔는지 캐는 데 집중하고 있다. 40억 원의 용처에 따라 공천 비리인지, 아니면 개인 비리인지가 드러날 것이다. 공천 비리는 돈으로 국회의원직을 사는 최악의 선거 사범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의혹이 재차 제기된 현실이 개탄스럽다. 검찰은 철저히 수사하되 대선 국면이라는 민감한 정치 환경을 고려, 신속하게 수사를 마무리해야 한다.

짚고 넘어갈 것은 이 사건을 선거 사범을 담당하는 지검 공안부가 아니라 이례적으로 대검 중수부가 맡았다는 점이다. 대검 중수부는 검찰총장의 직접 지휘를 받으며 수사 강도가 높아 부산지검이 수사 중인 새누리당 공천 헌금 비리 사건과 비교해 형평성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검찰이 '정치 검찰'이라는 비판을 다시 받지 않으려면 알맹이 있는 수사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