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자리 창출 도맡게 될 '미래창조과학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인 미래창조과학부에 점점 힘이 실리고 있다. 옛 과학기술부와 같은 연구 중심 부처가 아니라 산학협력'일자리 창출까지 도맡는 '선도 부처'로 만들겠다는 박 당선인의 의지가 표출됐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은 10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인 모임에 참석해 "새 정부의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책과 창조경제 활성화를 전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이 전했다. 박 당선인은 이어 "국민행복시대를 창조과학기술로 앞당기겠다. 경제위기라고 해서 기초과학 연구 투자를 줄이면 우리 과학기술이 세계 속에 우뚝 설 기회를 놓치게 된다"며 "국가 총연구개발비를 높여 고급 일자리 창출과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안정적 연구환경을 조성해 과학기술인이 마음 놓고 연구에 전념하도록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박 당선인의 발언을 두고 과학기술계는 새 정부에서 신설할 미래창조과학부를 '창조경제' 전담부서로 만들겠다는 의중이 분명히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창조경제는 정보기술(IT)을 전체 산업에 접목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박근혜노믹스'의 핵심 개념이다.

하지만 미래창조과학부를 두고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논란도 함께 일고 있다. 일부에서는 예산권까지 가져 '거대 공룡'이 될 미래창조과학부에 대한 우려마저 숨기지 않고 있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당선인 측이 내세운 미래창조과학부의 모습은 기초연구부터 우주개발, 해양개발, 원자력 등 거대과학은 물론 과학 대중화와 국가 연구개발(R&D) 기획조정까지 총괄하는 대규모 과학기술 컨트롤타워로 비친다"며 "그림이 너무 커서 관련자들도 무슨 일을 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업무가 겹치는 부처들도 초긴장 상태다. 우선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출범하면 과학기술 정책과 연구개발(R&D) 관련 업무를 내줄 수밖에 없는 처지다. 기획재정부도 과학 분야에 대한 예산권을 넘겨주게 돼 조직의 힘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