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즉시 조치 과제로 '고용률 70% 달성'을 국정 운영의 중심에 두는 일자리 마련 로드맵을 14일 제시했다. 세계 경제위기와 각종 경제 불안요소 등이 난립하면서 새해 들어서도 빨간불이 켜진 우리 경제에 대한 우려를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률 상승으로 타개하겠다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14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고용률 70% 달성을 국정 운영의 중심에 두는 일자리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2012년 64.2%에 그친 고용률(OECD 비교기준 15~64세)을 70%대까지 끌어올리려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임기 5년 동안 매년 35만 개 이상씩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청년'여성'장년층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로 취업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한편 일자리 중심의 국정운영 체계를 마련해 재정 투입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청년취업아카데미 대상자를 지난해 8천 명에서 올해 1만4천 명 규모 ▷중소기업 청년인턴은 작년보다 1만 명 증가한 5만 명 규모 ▷국가기간 전략직종 훈련대상자는 지난해보다 3천 명 늘어난 2만5천 명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고용노동부는 박 당선인의 일자리 공약인 '늘'지'오'(늘리고 지키고 질을 올리는)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대책도 이날 중점 보고했다. 인수위 한 관계자는 "베이비부머 등 장년층의 일자리 지키기를 위해 임금피크제와 연계한 '60세 정년 법제화' 계획과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신설 방안이 보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는 아울러 경찰, 소방관, 특수교사, 사회복지교사 등 공공 일자리를 매년 확대해 공공 부문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주 40시간 근로에 주말 근무를 포함하는 방법 등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근로시간을 OECD 평균 수준으로 줄이고,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고용을 늘리는 기업에 정책적 지원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