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3개월령 이상 애완견은 등록을 해야 한다. 이 제도는 유기견 발생을 줄이고 반려견의 사육두수 현황을 파악해 효과적으로 예방접종과 인수공통 전염병 관리를 하기 위해서이다.
매년 봄·가을 광견병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지만 광견병 항체가 형성된 개는 실외에서 키우는 애완견의 경우 20%, 실내에서 키우는 반려견의 경우 50% 정도 면역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애완견 등록제를 실시해 개체 수가 확인되면 예방접종 유무와 사육두수 확인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동물등록은 보호자 주민등록상의 거주지 내 동물병원에서 해야 한다. 타 지역에서는 시술을 받을 수 없어 대구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와 관련 부서에 거주지와 상관없이 보호자가 다니는 지역 병원에 등록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제도 개선을 건의했다. 보호자 부담으로 시행되는 제도에 보호자의 불편함이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동물등록에는 반려견 체내에 삽입을 하는 내장형 전자칩의 경우 2만원, 목걸이 형식의 외장형 전자태그에 1만5천원의 수수료가 들어간다. 다만 장애인 보조견이나 유기견 입양을 받은 경우 수수료가 면제된다. 또 보호자가 기초수급대상자이거나 반려견 중성화 수술 및 3마리 이상 등록을 할 경우 50% 감면받을 수 있다. 제도가 시행되기 전 마이크로칩을 시술받은 경우에는 등록비용으로 1만원의 경비를 지불해야 한다.
이 제도는 반려견을 버리지 말고, 잃어버렸을 때 빨리 주인을 찾을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런데 내장형 전자칩 시술로 육아조직이 생기는 부작용으로 거부하는 보호자가 있다. 그러나 약 10만 마리의 개에게 칩을 시술했을 때 육아조직이 생기는 부작용은 1건, 위치가 이동한 경우도 1건 정도로 미미하다.
외장형이 선택되면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한다. 나는 절대 안 버린다고 생각하고 외장형을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살다 보면 환경이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모른다. 칩을 삽입한 경우에는 버릴 수가 없다. 금방 주인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장형 목걸이를 선택한 경우 개를 키울 수 없을 경우가 발생하면 쉽게 버린다. 아무도 보호자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망설임 없이 쉽게 버릴 수 있다.
선진국의 경우 외장형은 분실할 소지가 많아서 내장형 시술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외장형은 분실 등으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이 드는 등 단점이 있다. 그리고 외국에 나갈 때 내장형 시술을 다시 해야 한다. 반면 반영구적인 내장형은 한 번의 시술로 비용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을 유실했을 때 찾을 수 있는 확률이 훨씬 더 높은 장점이 있다.
반려견 등록제는 우리 사회의 수준을 보여주는 하나의 기준이 된다고 생각한다. 사람과 자연, 동물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그런 성숙한 사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최동학 (대구시수의사회 회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