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만들자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해 말,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을 추진할 실무협의회 구성 협약을 맺은 데 이어, 그 첫 작업으로 25일 주민 설명회를 개최한다. 지역 학계와 사회단체는 이미 지난해 7월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시도민 대토론회를 열기도 했다.

그동안 팔공산은 행정구역 때문에 관리 주체가 대구시와 경북도로 나뉘고, 경북도에서는 다시 시'군으로 갈려져 통합적인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전체적인 개발 계획 없이 난개발이 된 이유다. 이 때문에 오래전부터 국립공원화가 논의됐지만, 지자체 사이의 이해관계가 엇갈려 제대로 추진하지 못했다.

팔공산의 국립공원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는 이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주민과 상인에 대한 설득이다. 이에 대해 대구시와 경북도는 팔공산이 현재의 도립공원이든, 국립공원이든 모두 자연공원법을 적용받아 실생활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한다. 관리 주체가 흩어진 지자체 대신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 바뀔 뿐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국가가 직접 관리해 대구와 경북 도민의 중심 산이라는 위상에 걸맞은 국립공원으로 보호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은 체계적인 자연보호뿐 아니라 팔공산의 브랜드 가치 개발을 위해서도 당연하다. 또 지난해 말 광주 무등산의 국립공원 승격으로 여건도 좋은 편이다. 중요한 것은 대구시와 경북도의 합심하는 자세와 열린 행정이다.

팔공산 국립공원화는 주변 주민과 상인에게는 재산권 보호라는 민감한 문제가 걸려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국립공원 승격 뒤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철저하게 분석해 설명하고, 주민과 상인의 동의를 얻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