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해안 원전 주변 지진 대비 생존공간 구축

3개 읍면에 3억원 들여…경주 노후 민생 시설 보강

경상북도와 경주시, 경북건축사회는 후쿠시마 일본 대지진 이후 원전주변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 대책 필요에 따라 내진 설계 대상이 아닌 소규모 민간건축물에 대해 지진발생 시 대피 가능한 생존공간(Survival Area, S/A) 구축사업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감포읍과 양북면, 양남면 등 동해안 원전 주변 3개 읍면에 도비 1억5천만원, 시비 1억6천500만원의 예산으로 2012년 30동, 2013년 30동 전체 60동의 사업량을 선정해 추진한다.

사업 대상은 욕실이 있는 100㎡ 이하 소규모 민생시설로 건축연도가 오래돼 지진에 약한 벽돌로 쌓은 구조가 주요 대상이며, 건물 내 급수 가능한 최소 공간의 화장실을 구조적으로 보강한다는 방침이다. 욕실이 없을 경우 작은방 또는 비상시 대피 가능한 적절한 코너 부분 보강과 복합 소재 보강재 또는 복합 소재빔 부착공법을 적용, 시행한다.

황석호 건축과장은 "지속적인 사업과 원만한 추진을 위해 지역 이장 회의 등을 통해 사업 대상자가 선정돼 조속한 지진 대비 생존공간(SA) 구축사업을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