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버스 정류장에서
할머니와 서양 아저씨가
읍내로 가는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시간이 제멋대로인 버스가
한참 후에 왔다
-왔데이!
할머니가 말했다
할머니 말을 영어인 줄 알고
눈이 파란 아저씨가
오늘은 월요일이라고 대꾸했다
-먼데이!
버스를 보고 뭐냐고 묻는 줄 알고
할머니가 친절하게 말했다
-버스데이!
오늘이 할머니의 생일이라고 생각한
서양 아저씨가
갑자기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해피 버스데이 투 유!
할머니와 아저씨를 태운
행복한 버스가
힘차게 떠났다
-월간 (1980년 4월호)
참으로 절묘한 소통이다. 영어 '영' 자도 모르는 할머니와 한국어 '한' 자도 모르는 서양 아저씨가 대화를 하다니. 서로 제 맘에 겨워 잘도 받아넘긴다. 서로 다 알아들었는데 점입가경 삼천포행 버스다. 유쾌하게 흔들리며 가는 행복 버스다.
뉴질랜드 아가씨가 한국말을 배우겠다고 안동에 온 적이 있었다. 본토 발음 서울말 두고 굳이 안동말을 배우겠단다. 언어는 서로 소통하면 된다는 고집이었다. 몇 년 뒤 그녀는 말끝마다 '껴, 껴' 하면서 한국 하고도 안동말을 배워서 돌아갔다. 지금도 어디선가 한국 사람을 만나 '껴, 껴'거릴 그녀 생각하면 슬쩍 웃음이 난다.
참 말 많은 시대에 살고 있지만 우리는 얼마나 서로 소통하고 사는지. IT 강국이 무색하게 불통, 먹통, 뿔뿔이 제 갈 길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서로 통하지 않더라도 이 시처럼 막 행복해지는 세상 어디 없을까나.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