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성그룹 생활폐기물 재활용 에너지 생산

대구시 'RDF' 투자사업 참여…2015년부터 하루 600t 처리

가칭 대구그린에너지의 조감도
가칭 대구그린에너지의 조감도

대성그룹이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대구시 폐기물 에너지화(RDF) 시설' 민간 투자사업에 참여한다.

대성그룹 계열사인 대성에너지, 대성홀딩스와 GS건설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지난 2008년 대구시에 제안한 이 사업은 지난해 12월 기획재정부의 민간투자사업 심의위원회를 통과해 22일 컨소시엄과 대구시가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총 사업비 1천796억원이 투입될 사업에는 대성에너지(시공지분율 18%)와 대성홀딩스(10%), GS건설(40%, 대표사), 화성산업(17%), 대림산업(15%) 등 5개사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며 컨소시엄 참가사들이 공동 출자를 통해 특수목적법인(SPC) '대구그린에너지'(가칭)를 설립한다.

시설은 올 상반기에 착공, 2015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대구그린에너지는 대성에너지가 위탁운영사로 나서 준공 후 15년 동안 시설을 운영한다. 대구 RDF시설은 방천리쓰레기매립장 하단부지 5만132㎡에 건설돼 하루 600t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게 된다.

RDF시설이 완공되면 쓰레기 종량제봉투에 담긴 채 매립하거나 소각하던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원 개발효과와 함께 방천리매립장의 사용기간 연장이 가능하고 매립가스와 침출수 등 환경유해물질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열, 전기 생산에 따라 연간 251억원 상당의 원유 수입 대체 효과가 예상되며 향후 UN기후변화협약(UNFCC)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인증을 통한 온실가스배출권(CERs) 및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공급인증서(REC) 판매 수익 확보도 가능해졌다.

대성그룹 김영훈 회장은 "RDF 사업은 미래 에너지원 확보가 중요한 시점에서 쓰레기가 고효율 에너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또 "대성그룹이 실행하고 있는 일련의 폐기물 자원화 사업을 통해 대구 방천리위생매립장 일대가 친환경 그린에너지파크로 거듭나도록 힘쓰는 한편 세계에너지총회 개최 예정 도시인 대구가 세계적인 저탄소 녹색도시가 될 수 있도록 대구시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