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속에
밥공기만한 돌덩이 하나
들어있다.
그 돌덩이 밤낮없이
가슴 여기저기 마구 돌아다녔다.
헤집을수록 쓰리고 아프고
온 가슴 검붉게 멍이 들고
너무 아파 숨도 제대로 쉬지 못했다.
하지만 세월 지나면
아픔에도 굳은살 박히는가 보다.
가슴팍도 이제는 돌처럼 굳어서
웬만큼 부딪쳐도 쓰리지 않다.
그동안 하도 아프고 아파서
이젠 그 돌덩이도 마침내
아픈 가슴 일부가 되었다.
가슴속에
밥공기만한 돌덩이 하나
들어있다.
-시집 『세느 강 시대』(월간문학출판부, 2005)
시를 사물화한다면 아픔을 덜어내는 숟가락도 괜찮은 목록 중 하나일 것이다. 가슴 속에 있는 아픔을 한 숟갈 한 숟갈 덜어내다 보면 아픔의 밥공기는 차츰 비워질 터이다. 아픔을 떠내어 원고지에 떠먹이다 보면 끝내는 원고지가 배부른 아이처럼 살포시 웃음을 지어 보이겠지. 한 잔 술도 좋고, 한 소리 지르는 것도 좋지만 이렇게 평화적으로 해소하면 제법 품위 유지도 된다.
보시다시피 이 숟가락은 힘이 세서 '밥공기만 한 돌덩이'도 쉽게 떠낼 수 있다. 시의 효용 중 하나다. 보라, 가슴을 짓이기던 돌덩이가 어느새 종이 위에 이렇게, 버젓이 나뒹굴고 있지 않은가.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