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년간 조류와 대장균 등이 창궐해온 금호강에 올해 들어 다시 조류 농도가 높아지고 기준치 이상의 대장균이 검출됐다. 하지만 이런 위험성을 알릴 '조류경보제' 같은 제도가 금호강 등 지류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호수와 한강, 낙동강 일부 지점에 적용 중인 조류경보제를 금호강과 같은 지류에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류'대장균 양식장
금호강의 지난 5년간(60개월) 클로로필-a 수치를 보면 봄부터 가을까지 빈번하게 조류가 발생해온 것을 알 수 있다.
강창교는 2008~2012년 83.3%인 50개월이 조류주의보 발령 기준인 15㎎/㎥를 넘은 가운데 주의보(15~24㎎/㎥) 수준이 10개월, 경보(25~99㎎/㎥) 수준이 35개월, 대발생(100㎎/㎥ 이상) 수준이 5개월이나 됐다. 월평균 최고수치가 157.8㎎/㎥까지 올라간 달도 있다.
팔달교 역시 같은 기간 83.3%인 50개월(주의보 21개월, 경보 29개월)이, 무태교(북구 산격동)는 73.3%인 44개월(주의보 15, 경보 28, 대발생 1)이, 아양교(동구 효목동)는 41.6%인 25개월(주의보 14, 경보 10, 대발생 1)이 각각 클로로필-a 수치 15㎎/㎥ 이상을 기록했다.
이렇게 금호강에서 조류가 과도하게 번식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높은 총인(T-P)의 농도. 같은 기간(60개월) 조류의 먹이가 되는 영양염류 중 하나인 총인의 수치가 높게 나왔다. 강창교는 50%인 30개월(최고수치 0.901㎎/ℓ)이, 팔달교는 26.6%인 16개월(최고수치 0.787㎎/ℓ)이 총인의 환경기준인 0.5㎎/ℓ를 넘어섰다.
금호강은 대장균에도 안전하지 않았다. 팔달교 인근의 금호강은 2008~2012년 총대장균군수가 환경기준(5천 군수/100㎖ 이상)을 넘어선 달이 30%인 13개월이나 됐고, 기준치의 3배에 가까운 1만4천 군수/100㎖를 기록한 달도 있었다.
대구지방환경청 수질총량관리과 관계자는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부터 조류가 발생해 늦은 가을까지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며 "3~5월엔 규조류가 증식하며 수온이 상승하는 5~6월에 녹조류로 변한다"고 설명했다.
◆조류경보제 지류에도 적용해야
환경단체들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며 금호강에도 현재 호수와 한강, 낙동강에 적용 중인 조류경보제를 도입해 수질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녹조 문제가 불거졌던 지난해 7, 8월 낙동강과 금호강의 월 평균 클로로필-a 수치를 비교해 보면 금호강에서 조류가 비슷하거나 더 번창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지난해 7, 8월의 클로로필-a 수치는 낙동강의 경우 달성보 18.3'29.8㎎/㎥, 강정고령보 17.8'16.5㎎/㎥, 칠곡보 23.1'19.4㎎/㎥ 등이다. 반면 금호강의 경우 아양교 12.9'25.8㎎/㎥, 무태교 16'29㎎/㎥, 팔달교 14.3'24.2㎎/㎥, 강창교 53.9'49.5㎎/㎥ 등으로 금호강에서 발생한 조류 농도가 더 심한 곳도 있었다. 환경단체들이 지류 관리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이유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낙동강에 녹조가 창궐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질소, 인 등 영양염류와 높은 농도의 조류를 함유한 금호강 등 지류가 흘러 들어오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지류에 대한 관리 없이 낙동강에 조류경보제를 도입한다고 수질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며 "상수원인 낙동강의 조류를 줄이기 위해선 한강과 낙동강처럼 하루빨리 금호강 등 지류에도 조류경보제를 적용해 수질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